[우난순의 식탐] 먹성도 부전여전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먹성도 부전여전

  • 승인 2019-06-26 10:33
  • 신문게재 2019-06-27 22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1125390364
게티이미지 제공
해남 미황사를 병풍처럼 두른 달마산 능선에서 바라본 바다가 안개로 뿌옜다. 땀으로 범벅된 몸으로 나무 그늘 아래 자리를 잡고 앉았다. 아침 8시부터 가파른 산을 오른 탓에 위장에선 아우성 소리가 요란했다. 배낭에서 바게트 빵을 꺼내 정신없이 먹었다. 물기도 없고 질겨서 목이 막혀 물 한 모금을 마셨다. 물도 아껴 먹어야 한다. 전날 김밥을 사놓자니 상할 것 같고 새벽 일찍 문 여는 곳이 없어 숙소에 들어가기 전에 바게트를 샀다. 양도 많을 뿐더러 달지 않아 물이 덜 먹힐 것 같아서였다. 먹을 건 바게트 한 봉지와 물, 오이, 참외 하나 뿐. 배낭이 무거우면 등산하는데 힘들기 때문이다. 오이도 뚝 잘라 먹었다. 비로소 살 것 같았다. 갑자기 아버지가 위독해서 앰뷸런스로 대전 병원으로 가는 중이라는 연락을 받은 직후였다. 그런데도 난 미친 듯이 먹어대며 내 위장의 허기를 달래고 있다니!

데이비드 흄은 감정은 이성을 앞선다고 했다. 당연히 감정보다 앞서는 건 본능일 것이다. 그러고 보면 인간은 아무리 잘난 척 해도 동물의 범주를 벗어나지 못한다. 아버지가 돌아가실 지도 모른다는데 나 살기 급급해 하고 있으니 말이다. 더 기가 막힌 건 아버지의 죽음을 목전에 두고도 별다른 느낌이 없었다. 그냥 멍했다. 통곡해도 시원찮을 판에 달디 단 참외를 맛있게 먹고, 새콤한 멍가 열매도 따먹었다. 카뮈의 소설 『이방인』의 주인공 뫼르소처럼 나 자신이 부조리한 인간처럼 느껴졌다. 정녕 죽음은 개인의 몫인가. 가족의 첫 죽음인 큰언니 때도 장례를 치르는 동안 끼니 때마다 국에 밥말아 배불리 먹었다. 당시 '이건 뭘까'라고 생각하며 적잖이 당혹스러워 했다. 장례를 치르고 난 후, 비로소 죽은 이의 부재를 실감하며 상실감에 시달렸다.

나는 아버지를 많이 닮았다. 까탈스런 성격과 뭐든 잘먹는 먹성이 그렇다. 나이 50을 훌쩍 넘은 요즘은 자주 아버지를 거론하게 된다. "아버지 체질을 닮았나봐요.", "아버지가 잘 드시는 데도 살이 안 찌시거든요." 주말에 어쩌다 청양 집에 가면 현관문을 열고 들어가자마자 "아, 배고파. 엄마 밥 언제 먹어?"라며 수선을 떤다. 그러면 엄마는 "넌 맨날 배고프다고 하니"라며 혀를 끌끌 찬다. 한번은 명절 때 점심을 먹은 지 얼마 안돼서 접시에 명태전, 가지전, 동그랑땡 등 부침개를 접시에 담아 거실로 갔다. 다리를 쭉 펴고 앉아 텔레비전을 보면서 쩝쩝거리며 먹는데 옆에서 나를 물끄러미 바라보던 엄마가 한마디 했다. "넌 먹는 게 다 어디로 가니?" 회사에서도 일하다 배가 고파지면 먹는 상상으로 머릿속을 가득 채운다. 기름이 뚝뚝 떨어지는 두툼한 삼겹살을 상추에 싸 먹으면 기가 막힌데, 초코파이는 언제 먹어도 살살 녹아, 저녁에 매콤새콤한 비빔국수나 해 먹을까?

철없던 시절, 난 아버지를 죽어라 미워했다. 반항적이고 예민한 사춘기 땐 무조건 아버지가 싫어 밥상 앞에서 고개를 외로 꼬고 먹었다. 몇 년 키우던 개를 팔고 뒤꼍에서 몰래 우는 아버지를 봤을 때도 단지 나약한 인간같다고 생각했다. 전쟁의 상흔은 아버지의 깨지기 쉬운 영혼을 오랜 세월 괴롭혔다. 나 역시 그런 아버지를 이해하는 데 많은 시간이 걸렸다. 객지생활한다는 핑계로 무심한 딸이기도 했다. 기껏해야 가끔 집에 갈 때 빵이나 과자 정도로 생색낼 뿐이었다. 아버지는 술을 한 모금도 못 마셨다. 대신 밥 잘 드시고 떡, 빵 등 주전부리를 좋아했다. 언젠가 유성시외버스터미널 근처에서 사 간 찹쌀도넛을 아버지는 맛있게 드셨다. 진작에 맛난 것 자주 사다드릴 걸, 풍수지탄이다. 아침밥 잘 드시고 돌아가신 게 위안이라면 위안일까. 그나저나 아버지 기일 제사상에 당신이 좋아했던 음식을 올리자면 상다리가 휘어질텐데 어쩌지? <미디어부 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기고]대한민국 지방 혁신 '대전충남특별시'
  2. 금강환경청, 자연 복원 현장서 생태체험 참여자 모집
  3. "방심하면 다쳐" 봄철부터 산악사고 증가… 대전서 5년간 구조건수만 829건
  4. [썰] 군기 잡는 박정현 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
  5. 기후정책 질의에 1명만 답…대전 4·2 보궐선거 후보 2명은 '무심'
  1. 보은지역 보도연맹 희생자 유족에 국가배상 판결 나와
  2. 안전성평가연구소 '국가독성과학연구소'로 새출발… 기관 정체성·비전 재정립
  3. 지명실 여사, 충남대에 3억원 장학금 기부 약속
  4. 재밌고 친근하게 대전교육 소식 알린다… 홍보지원단 '홍당무' 발대
  5. '선배 교사의 노하우 전수' 대전초등수석교사회 인턴교사 역량강화 연수

헤드라인 뉴스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12·3 비상계엄 이후 탄핵정국에서 펼쳐지는 첫 선거인 4·2 재·보궐 선거 날이 밝았다. 충청에선 충남 아산시장과 충남(당진2)·대전(유성2) 광역의원을 뽑아 '미니 지선'으로 불리는 가운데 탄핵정국 속 지역민들의 바닥민심이 어떻게 표출될지 관심을 모은다. 이번 재·보궐에는 충남 아산시장을 포함해 기초단체장 5명, 충남·대전 등 광역의원 8명, 기초의원 9명, 교육감(부산) 1명 등 23명을 선출한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을 놓고 여야 간 진영 대결이 극심해지면서 이번 재·보궐 선거전은 탄핵 이슈가 주를 이뤘다. 재·보궐을 앞..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결정과 관련, 헌법재판관들의 의견이 ‘전원일치’이면 이유의 요지를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을 낭독한다. 헌법재판소의 실무지침서인 ‘헌법재판 실무제요’ 명시된 선고 절차다. 재판관들의 의견이 엇갈리면 주문 먼저 읽은 후에 다수와 소수 의견을 설명하는 게 관례지만, 선고 순서는 전적으로 재판부의 재량에 달려있어 바뀔 수 있다. 선고 기일을 4일로 지정하면서 평결 내용의 보안을 위해 선고 전날인 3일 오후 또는 선고 당일 최종 평결, 즉 주문을 확정할 가능성이 크다. 평결은 주심인 정형식 재판관이 의견을..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제4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을 추진하는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이하 소호은행)이 1일 기자회견을 열고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했다. 전국 최초의 소상공인 전문은행 역할을 지향하는 소호은행은 향후 대전에 본사를 둔 채 충청권 지방은행의 역할을 일부 수행하며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소호은행은 이날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소상공인 맞춤형 금융서비스 계획을 발표했다. 컨소시엄을 이끄는 김동호 한국신용데이터(KCD) 대표는 "대한민국 사업장의 절반 이상이 소상공인, 대한민국 경제 활동 인구의 4분의 1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 3색의 봄 3색의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