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29(왼쪽)소행성과 PM28 소행성. |
한국천문연구원은 문홍규 박사팀이 작년 8월 칠레, 호주, 남아프리카공화국 관측소에서 운영하는 지름 1.6m급 외계행성탐색시스템(KMTNet) 망원경 3기로 이런 소행성을 찾았다고 25일 밝혔다. 두 소행성은 국제천문연맹 소행성센터(MPC)에서 각각 '2018 PM28'(이하 PM28), '2018 PP29'(이하 PP29)라는 임시번호를 받았다.
PM28의 지름은 20~40m 사이로 추정된다. 44일간 궤도운동을 추적한 결과 이 천체는 궤도운동 중 태양까지의 최소거리(근일점 거리)가 1.3AU(약 1억9천500만㎞)보다 가까운 것으로 확인됐다. 국제천문연맹 소행성센터는 이런 소행성을 근지구소행성(NEA)으로 분류한다.
지구와 비슷한 궤도로 공전하는 게 이 소행성의 특이점이다. 근지구소행성의 궤도는 대부분 긴 타원형이며 궤도 평면은 지구 공전면에서 벗어나 있다.
이 소행성은 앞으로 100년간 지구와 충돌할 위협은 없는 것으로 계산됐다.
PP29의 경우 28억분의 1에 불과한 확률이지만 2063년과 2069년 각각 지구와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이 소행성의 지름은 160m 정도로 추정되는데, 이보다 작은 지름 140m급 천체의 경우 지구에 충돌하면 충돌점에서 반경 수백㎞ 지역까지 재난을 초래할 수 있다.
국제 천문연맹 소행성센터는 이 소행성을 '지구위협소행성'(PHA)으로 분류했다. PP29의 궤도는 긴 타원 형태이며 공전 주기는 5.7년이다.
연구진은 2016년부터 KMTNet으로 태양계 행성들이 지나다니는 공전궤도면 부근인 황도대를 관측하는 '남천 황도대 집중탐사연구'(DEEP-South)를 진행하고 있다. 황도대는 소행성이 많이 발견되는 '길목'으로 알려졌다.
두 소행성을 발견한 정안영민 천문연 박사는 "한국 최초의 지구위협소행성 발견은 외계행성탐색시스템의 광시야 망원경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며 "우리나라의 미래 소행성 탐사를 위한 기반 연구를 꾸준히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김성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