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복섭 교수 |
그나마 넓지 않던 2차선 도로가 둘로 나뉘어 거리는 좁게 느껴지고 상가는 시각적으로나 기능적으로도 이쪽과 저쪽이 완전히 분리되었다. 이 모두가 무단횡단 또는 불법주차를 막기 위한 선제적 조치로 이해된다.
과연 그렇게까지 할 필요가 있을까? 불법주차는 계도로 극복될 문제이고 필요할 경우 카메라 단속으로도 충분히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무단횡단은 상황에 따라 다른 규칙이 적용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간선도로는 차량소통이 우선권을 가지므로 횡단보도와 신호체계를 엄격하게 적용하는 것이 당연하지만 생활가로 또는 상가가 밀집한 거리는 보행자가 우선이기에 굳이 횡단보도가 아니어도 언제든 편리하게 길을 건널 수 있어야 한다. 2차선의 좁은 도로에서 빨리 달리는 차로부터 사람을 안전하게 지킨다는 이유로 가운데에 펜스를 설치하는 일이 과연 바람직한지 의문이 간다.
횡단보도 근처 보도 입구에 자동차 진입을 막기 위해 설치하는 볼라드(길말뚝)도 문제다. 예전에는 누가 함부로 옮기지 못하도록 무거운 화강석으로 제작되었는데, 낮은 높이 때문에 눈에 잘 띄지 않다 보니 오히려 보행에 위험한 걸림돌이 되었다.
특히 시각장애인들에게는 '대인지뢰'라 불리며 조심해야 할 위험물로 꼽힌다고 한다. 다행히 최근에는 많은 곳에서 얇고 길쭉한 기둥 모양으로 교체되고 있다.
교차로와 횡단보도에 신호등 운영을 담당한다는 교통신호 제어기도 대표적인 장애물로 꼽힌다. 바쁜 출근길 굳이 교통경관이 나서서 임의로 신호를 조작하는 것도 이해가 되지 않지만 큼직한 등치에 좁은 인도 한편을 차지하고 통행에 걸림돌 역할 하는 것을 보면 불편한 생각이 앞선다.
첨단시대 관제센터에서 모니터를 지켜보며 원격으로 조정하는 것은 어려운 일일는지, 아니면 교통신호 제어기를 선진국처럼 얇고 작게는 만들 수 없는 건지 생각이 꼬리를 문다. 보행에 방해되지 않도록 협의를 통해 인접건물에 붙여 집적화하는 방안도 생각해볼 일이다.
도심을 제외하고 요즘 웬만한 교차로에서는 로터리방식이 일반화되었다. 신호등방식의 경우 급정거에 의한 사고위험성과 보행자가 거의 없는 심야시간대의 비효율적 교통처리 대안으로 로터리방식으로 바뀐 것인데 인문학적으로 의미하는 바가 크다. 기계가 인간을 컨트롤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 스스로가 설정하는 질서에 의해 움직이는 방식으로 전환했다고 보기 때문이다.
신호등방식의 경우 교차로에서 운전자들은 긴장한 상태로 출발신호를 기다리다가 경쟁하듯 튀어나가며 혹에라도 옆 차로에서 꼬리물기라도 할라치면 짜증을 토해내는 모습은 마치 기계가 인간을 거리에 검투사로 내몬 듯한 인상을 받는다. 로터리방식은 교차로에서 지속적으로 다른 차들과 소통하며 인간이 주도하는 양보가 최선인 상황을 끊임없이 만들어낸다. 나는 이를 도시공간의 민주화라 부르고 싶다.
이렇듯 도시공간에는 인간을 압제하는 많은 장애물이 존재한다. 장벽 같은 무단횡단 금지펜스나 육중한 몸집의 화강석 볼라드, 보행을 방해하는 각종 지장물을 보면 나는 사람 위에 군림하고 통제하려는 가상의 독재자가 떠오른다. 도시공간의 불편을 초래하는 시스템과 지장물은 부지불식간에 도시민을 압제하는 요소들이다.
불편을 감수하면서 참고 견딜 것이 아니라 개선할 방법을 찾아야 하고 적극적인 요구를 통해 편리하고 행복한 도시 삶을 쟁취해야 한다. 도시공간의 민주화운동을 전개할 때다.
송복섭 한밭대 건축공학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