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지역 관광객뿐 아니라 지역 내 정부출연연구기관 관계자 또한 이처럼 말한다. "그래도 1993년 대전엑스포 때는 꿈돌이 꿈순이라도 있었는데…"라는 조롱 섞인 말을 하기도 한다. 이 지역이 과학도시라고 보여줄 만한 것이 없는 게 지금 대전의 현실이다.
실제 대전역, 버스터미널을 가 봐도 "이곳이 과학도시구나"라고 생각될 만한 상징물조차 없다. 그저 대전(大田)이다. 그나마 타 지역에서 대전을 넘어올 때 '과학도시 대전 방문을 환영합니다'라는 문구가 이곳이 '과학도시'임을 알려준다.
시민들이 과학을 누릴 만한 혜택도 없다. 대전이 대한민국의 과학발전을 이끌어 왔다고 하지만 정작 시민들은 4차 산업혁명 특별시, 과학도시에 살면서 먼발치에서 과학기술의 발전을 지켜만 보고 있다. 그저 유성구 일대에 정부출연연구기관이 있어 종종 있는 설명회 등을 들을 수 있는 정도다.
과학도시라고 유일하게 내세울 수 있는 대덕특구 내 출연연구기관의 타 지역 분원 설치도 과학도시 대전의 힘을 빼앗고 있다.
현재 대덕특구 내 출연연 가운데 22개 기관에서 전국에 61개 분원을 운영하고 있다. 타 지역 분원 설치는 대덕특구의 과학기술력의 분산, 연구비 지원 분산과 함께 연구인력 유출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출연연 관계자는 "특구 내 출연연의 타 지역 분원 설치는 특구의 과학기술력의 분산, 연구비 지원 등의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며 "이는 자연스럽게 대덕특구 기능축소로 이어질 수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시가 노력을 기울이지 않는 것은 아니다.
시는 테마형 특화단지사업인 'Re-new 과학마을' 등 시민들이 과학을 체감할 만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다만 이 사업들은 대덕특구 내 출연연과 협력하지 않으면 실현 불가능한 사업이다.
하지만 시와 대덕특구 내 출연연은 소통은 하고 있지만 소통이 되지 않는 미묘한 관계를 지속한다. 시는 출연연이 정부기관이라 시와 협력을 안 한다고 말하고 출연연은 시가 과학에 대한 생각이 없다고 비판한다.
한 출연연 관계자는 "출연연에서 다양한 기술을 시연할 수 있게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둔산동 등에 공간을 마련해달라는 의견이 있었을 텐데 시는 이러한 의견을 제대로 귀 기울이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소통은 하고 있지만 소통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는 말이다.
과학도시 대전에서 과학이라는 단어가 빠지고 있는 지금. 대덕특구 내 출연연과 대화와 긴밀한 협력을 통해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과학도시를 구축해 과학도시 대전의 위상을 되찾아야 한다. 김성현 행정과학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