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
대전교육청은 올해 전국소년체전 초등부 축구 대전대표로 학교가 아닌 클럽팀을 출전시켰다. 지난해부터 소년체전 참가자격에 클럽팀도 동일하게 출전할 수 있다는 조항이 생기면서 예선을 거쳐 우승팀인 클럽 P&S FC에 대전 대표 자격을 부여했다.
이는 공교육으로 대표되는 학교형 교육 체제만을 고집할 수 없다는 체육계 전반의 달라진 변화를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단체 종목인 축구나, 야구, 배구 종목을 제외하고 태권도, 유도, 수영과 같은 개인종목은 60~70%가 이미 클럽팀 소속 선수인 경우가 대다수다. 올해는 축구 한 종목에 그쳤지만, 앞으로 야구나 배구 단체 종목에서도 클럽팀이 나올 가능성도 배제 할 수 없게 됐다.
대전교육청 체육예술건강과 김희종 장학사는 "6개 학교 인재로 육성된 사설 축구팀이 올해 처음으로 체전에 출전했다"며 "이 시도가 체육환경을 하나의 기조로 바꾼다기 보다는 여러 육성 시스템들이 상생할 수 있는 길을 찾아야 한다는 신호"라고 말했다.
공교육에서 사설 클럽팀으로 체육 인재 육성 환경이 변할 수밖에 없는 것은 인재와 운동시설 부재에서 출발한다.
대전의 단체 종목 팀은 대다수 동구와 중구 쪽에 쏠려 있었다. 하지만 수십 년 전부터 서구와 유성구로 학교나 인구 중심이 이동하면서 지역 간 격차는 점점 벌어졌다. 환경이 갖춰져 있어도 동구와 중구에는 육성할 학생이 없고, 학생은 있지만 운동부를 설립할 수 없는 서구·유성구의 대조적인 교육시스템이 굳어져 왔다.
이로 인해 서구와 유성구에서는 방과 후 훈련을 받을 수 있는 사설팀이 우후죽순 늘어나고, 상대적으로 인재가 없는 동구와 중구는 학교팀이라 해도 전력 면에서 사설팀을 넘을 수 없는 한계까지 직면하게 됐다.
이에 체육계 관계자들은 공교육과 사교육으로 쏠리지 않을 '연합팀' 구성에 희망을 보고 있다.
선수 수급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단체 종목의 경우 학교팀을 중심으로 주변 학교와 클럽에서 인재를 차출해와 팀을 구성하는 '○○학교 FC'방식에 긍정적인 모습이다. 실제 이 모델을 적용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는 학교가 있어 첫 단추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체육계 관계자는 "연합팀 구성은 고민해 볼 만한 케이스"라며 "학교장이 타 학교 학생들을 케어해야 한다는 부담감은 있겠지만 이를 잘 봉합하고 지원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연합팀 구성과 클럽팀 체전 참가로 인해 학교팀 체육부가 쇠퇴할 수도 있다는 우려의 시각도 만만치 않다.
정문현 충남대 교수는 "학교팀을 제대로 이끌기 위해서는 지도자 지원과 합숙이나 식단 문제, 후원금 비리가 척결돼야 한다. 선행적으로 이 문제를 풀지 못하기 때문에 학교 체육을 고집하기 어려운 시대가 됐다"고 꼬집었다.
대전의 한 초등학교 축구팀 감독은 "타 시도에서는 이미 학교보다는 사설 클럽팀을 권장하는 추세다. 클럽팀은 사업장이 감독이기 때문에 성적을 잘 내기 위해 집중 교육을 할 수밖에 없고 학생과 학부모가 만족도가 클 수밖에 없다"고 호소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