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진 교육문화부 기자 |
총장 직선제는 크게 교수 직선제와 구성원 직선제로 나뉘는데 구성원 직선제에서는 교수 뿐 아니라 직원, 학생들에게도 투표에 참여할 수 있는 권한이 돌아간다.
대전에서는 지난해 한밭대가 직선제로 총장을 선출했으며 충남대가 이르면 올 연말, 늦으면 내년 초에 19대 총장 선거를 치를 예정이다. 수도권에서는 이화여대와 성신여대가 교수, 직원, 학생 동문이 참여하는 구성원 직선제를 실시하고 있다. 영남권 대학인 부산대는 학생 대표 20명이 총장 선거에 참여한다.
지난달 30일 한남대서는 사립대학의 대학총장 선출제도 개선방향을 주제로 교수협의회가 열렸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간선제의 한계를 설명하고 직선제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대학 구성원들의 이익을 우선해야 하는 총장이 이사회의 입맛에 맞춘 행정을 펼치게 된다"며 간선제로 선출된 총장들은 소위 '집사형 총장'으로 변질 우려가 있다고 꼬집었다.
학생들도 목소리를 내고 있다. 충남대 총학생회 '리보이스'는 지난 4일부터 5일까지 이틀에 걸쳐 전교생을 대상으로 총장 직선제 서명운동을 벌였다. 이들은 "한 나라의 대통령도 전국민이 직접 뽑는데, 대학을 대표하는 총장도 구성원들이 선출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충남대 뿐 아니라 지역 거점국립대학도 함께 서명운동을 실시했다. 이 밖에도 학생들이 움직이고 있는 사례들이 있다. 지난달 국민대 총학생회장은 총장 직선제를 위해 열흘 이상 단식투쟁을 벌이기도 했다. 이와 대조적으로 대전지역 사립대 학생회에서는 직선제 참여를 위한 요구가 상대적으로 적어 아쉬움이 남는다.
한편 후보들의 지나친 로비 경쟁 등 부작용을 우려하는 시선도 있다. 한 사립대 관계자는 "간선제를 유지하는 것은 다 이유가 있다"며 "직선제를 실시할 경우 후보자들 간 과열 경쟁이 발생하거나, 당선 후 보은 인사로 인한 학내 분위기를 해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선거에 도움을 준 사람들에게 좋은 보직으로 답변하고, 상대 후보의 지지자에게는 보복성 인사가 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창현 국민대 교수의 '총장선출관련 교수 인식 전수조사' 자료에 따르면 구성원의 대표성이 없다는 인식이 74.5%에 달한다. 이사회로부터 자율성이 없다는 인식은 67.7%로 조사됐다. 총장이 대학 구성원보다 이사회의 입맛을 맞추려고 한다는 것이다. 구성원들의 손으로 뽑힌 대표는 특정 집단보다 구성원의 이익을 먼저 생각 할 수밖에 없다. 대학의 수많은 관계자와 학생들이 총장 직선제 도입을 위해 노력하는 이유다. 첫 술에 배부를 수는 없다. 하지만 직선제를 위한 이들의 노력이 결실을 맺길 바란다.
김유진 교육문화부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