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이한 점은 청소년은 다문화 수용성이 크게 높아진 반면, 성인은 하락하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여성가족부는 계층별·대상별 눈높이에 맞춰 콘텐츠 개발 등 다문화 이해교육을 비롯해 이주민과 교류 활성화에 적극 나선다는 방침이다.
여성가족부가 발표한 ‘2018년 국민 다문화 수용성 조사 결과’에 따르면 성인과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 격차 더욱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 일반국민(성인)과 청소년은 다문화수용성 지수에 있어 서로 다른 특징을 보였다.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은 71.22점인데 비해 성인은 52.81점으로 청소년이 성인보다 18.41점 높았다.
2015년과 비교하면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은 3.59점 높아졌으나, 성인은 같은 기간 중 1.14점 하락해 성인과 청소년 간 다문화수용성 차이는 더욱 벌어졌다.
일반국민(성인)의 단일민족국가 지향성 수준을 묻는 3개 조사항목에서는 모두 점수가 하락하여 개방적인 방향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러 민족을 수용시 국가 결속력을 저해한다'는 질문에 대해 2015년 37.7%에서 2018년 34.9%로 떨어졌다. '단일민족 혈통유지는 자랑스러운 일'이라는 질문에서도 2015년 53.5%에서 2018년 46.5%로 하락했으며, '단일민족이 국가경쟁력을 높이는데 도움이 된다'는 질문에서 2015년 40.0%에서 2018년 34.3%로 떨어졌다.
성인과 청소년 모두 연령층이 높을수록 점수가 낮았으며, 중학생(71.39점)과 고등학생(71.08점)의 차이가 크지는 않은 반면, 특히 60세 이상 연령층의 다문화수용성 점수가 크게 낮은 수준(48.20점)이다.
청소년은 읍면부 거주자의 다문화수용성(72.30점)이 중소도시, 대도시 거주자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성인은 중소도시(53.75점), 대도시, 읍면부 거주자 순으로 나타났다.
다문화수용성의 하위 8개 구성요소별로 살펴 보면, 이주민들은 한국에 동화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일방적 동화 기대'의 수용성 점수(청소년 64.97점, 성인 45.69점)와 경제발전 수준이나 문화적 가치, 인종 등에 따라 이주민을 달리 대하는 경향성을 측정하는 '이중적 평가'의 수용성 점수가 낮은 편(청소년 64.84점, 성인 48.25점)이었다.
특히 이주민과 적극적 교류관계를 맺으려는 경향인 '교류행동의지' 측면의 수용성 점수가 청소년에게서 가장 높은(78.49점) 반면, 성인은 가장 낮게(42.48점) 나타나 대상별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이주민과 가족, 친척, 친구, 이웃 등의 관계를 맺고 있는 성인은 41.2%에서 32.4%로 줄었고, 청소년은 34.7%에서 41.1%로 증가했다.
이주민 동료나 친구가 있을 경우 '(그들과) 다투거나 갈등을 경험한 적이 있는 이들'도 성인의 경우 7.0%에서 1.6%로 크게 줄어 들었으나, 청소년은 5.0%에서 8.8%로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성인의 경우 이주민과의 관계도 감소하고 갈등 경험도 줄어든 것과는 대조적으로 청소년은 이주민, 다문화 학생과 관계의 양과 질이 높아진 만큼, 갈등 경험 또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주민과의 관계에 따라 다문화 수용성 수준을 비교해 보면, 주변에 이주민이 없는 집단의 다문화 수용성이 이주민과 관계를 맺고 있는 이들 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또한, 이주민과 관계를 맺고 있는 이들 중에서는 '이웃관계'를 맺고 있는 이들의 다문화수용성 점수가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최근 1년간 다문화교육에 참여한 적이 있는 청소년은 늘었으나, 성인은 별 차이가 없어 성인과 청소년 대상 다문화교육의 활성화 정도에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교육 참여자의 수용성 점수(청소년 72.55점, 성인 57.70점)가 미참여자(청소년 70.58점, 성인 52.57점)보다 높아, 2015년과 같은 경향이 있었다.
다문화행사, 이주민 대상 자원봉사활동, 이주민과 함께 하는 동호회활동 등 성인의 참여율은 5% 정도이며, 다문화 학생과 같이 활동한 경험이 있는 청소년은 6.8%로 2015년 4.6%와 비교하여 다소 증가했다.
◇다문화 이해교육 내실화= 여성가족부는 찾아가는 다문화 이해교육을 내실화하고, 다문화 활동 프로그램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번 실태조사의 책임연구원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김이선 연구위원은 "청소년이 성인 보다 다문화수용성 수준이 월등히 높은 것은 이주민의 증가가 일상화된 환경 속에서 다문화 학생과 관계의 양과 질이 높아졌으며, 지속적인 다문화이해교육도 많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라고 언급했다.
여성가족부는 2018년 국민 다문화수용성 조사 결과를 토대로 관련 정책을 점검하고 다문화수용성을 지속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주민에 대한 차별을 개선하고 다문화에 대한 수용성을 높이기 위해 전문 강사가 '찾아가는 다문화 이해교육'을 내실화하고, 실생활 중심의 다문화 활동 프로그램을 강화할 예정이다.
특히 이주민 밀집지역의 다양한 주민들이 이웃 관계를 형성, 발전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진선미 여성가족부 장관은 "미래 세대인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난 데 주목하고, 우리 사회의 다문화 수용성 변화를 정책에 반영해 나가겠다"며 "이주민과의 관계, 다문화교육·활동 경험 등에 따라 다문화수용성의 수준이 달라지므로, 대상별 눈높이와 상황에 맞는 콘텐츠 개발 등 다문화 이해교육의 질적 제고와 이주민과의 다양한 교류 활성화를 통해 상호 이해와 존중의 기회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태구 기자 hebalak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