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편제>는 한국 영화 100년을 아우를 수 있는 가장 상징적인 작품이 아닌가 합니다. 전통과 근대, 역사와 현실, 인간과 예술의 문제를 고루 안으면서 예술성과 대중성을 모두 성취한 기념비적인 작품입니다. 남도 소리꾼 일가의 몰락과 회한을 통해 근대의 시간을 앞만 보고 달려온 한국인으로 하여금 지난 시절을 돌아보며 잃은 것의 아름다움을 생각하게 합니다.
영화는 줄곧 길을 보여줍니다. 목표와 성공을 위한 길이 아니라 머문 곳을 떠나 정처 없이 떠돌아야만 하는 자들의 길입니다. 소리꾼 유봉은 이미 잃은 자입니다. 스승의 애첩과 벌인 스캔들로 수제자로서의 성공과 서울살이를 잃고 낙향하여 떠돕니다. 그러면서 아내를 잃고, 일자리를 잃고, 아들도 떠나버립니다. 딸마저 떠나면 평생의 업인 소리까지 잃겠기에 그녀의 눈을 멀게 하는 비정한 사내입니다. 두고 온 아버지와 누이의 자취를 찾아 동호가 다시 길을 헤맵니다. 그러니 <서편제>는 길과 길의 만남입니다. 두고 온 길과 되찾아가는 길. 잃어버린 옛사람과 옛 소리는 한국인 관객 모두의 회한이기도 합니다. 앞의 <의리적 구투>가 소개된 극장인 서울의 단성사 단관에서만 무려 석 달 동안 100만이 넘는 관객이 보았습니다. 현재로 치자면 천만 관객 영화라 할 만합니다.
이 작품은 임권택 감독의 영화 이력과도 긴밀히 연관됩니다. 102편에 달하는 그의 필모그래피 중 스무 편 남짓 대표작들은 크게 '뒤돌아보는 영화'와 '앞을 보고 가는 영화'로 나눌 수 있습니다. <서편제>는 주로 동호의 뒤돌아보기이지만, 마지막 장면 자신의 예술적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송화의 길 또한 영화의 주제의식을 담고 있습니다. 더불어 이 영화는 판소리 '춘향가', '심청가', '흥보가', 민요 '진도아리랑', 단가 '사철가', 김소희 명창의 구음 등 우리 소리와 남도 산천의 사계절 풍경이 아름답게 어울려 깊은 감동을 자아냅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