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천식의 이슈토론이 15일 오전 10시 중도일보 스튜디오에서 '도시경관은 도시의 경쟁력!'이라는 주제로 진행됐다. 왼쪽부터 최문희 도시브랜딩 크리에이터, 신천식 박사, 김시찬 서영대학교 교수, 이지안 경관전문가 |
신천식의 이슈토론이 15일 오전 10시 중도일보 스튜디오에서 '도시경관은 도시의 경쟁력!'이라는 주제로 진행됐다. 왼쪽부터 최문희 도시브랜딩 크리에이터, 신천식 박사, 김시찬 서영대학교 교수, 이지안 경관전문가 |
최문희 도시브랜딩 크리에이터는 15일 오전 10시 중도일보 스튜디오에서 열린 '신천식의 이슈토론'에서 "도시 간판의 경우 대부분 아크릴재로 확일화 돼 있다"며 "간판의 질감을 살려 고유성을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를 깊이 고민하고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날 토론은 '도시경관은 도시의 경쟁력'이라는 주제로 김시찬 서영대 교수, 이지안 경관전문가, 최문희 도시브랜딩 크리에이터가 참석해 진행됐다.
도시경관은 그 공간에 사는 도시민과 방문객, 그곳을 향유하는 사람들의 숨결과 추억을 토대로 만들어져야 한다. 인공과 자연의 적절한 조화 속에서 도시의 품격과 수준이 결정되는 것이다. 이에 최 크리에이터는 "외국 사례 중 뉴질랜드 '북섬'은 주변 자연특성을 고려해 해상계류시설을 설치하고 요트에서 바라보는 자연경관을 감안해 주택을 배치했다"며 "우리나라의 경우는 자본의 흐름에 치우쳐 종로구 '피맛골' 같은 보존가치가 높은 옛터를 뉴타운 조성을 명분으로 밀어붙이기식 재개발로 소멸시켰다"며 아쉬움을 토로했다.
대전의 도시경관이 장소적 특성이 없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에 김시찬 교수는 "조망권 문제가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기획 단계부터 체계적인 진행이 필요하다"며 "5월의 크리스마스로 불리는 유성의 이팝축제나 계족한 황톳길의 경우 도시경관과 맞물려 지역축제와 접목시킨 좋은 사례로 본다"고 말했다. 또한, 도시경관을 해치는 주범으로 간판을 빼놓을 수 없는데, 김 교수는 "경기도 파주의 경우 2010년부터 예쁜 간판 공모전을 통해 선정된 간판의 디자인을 시 보조금 60%를 지원 받아 마을 단위로 꾸며주고 있다"며 "외부 방문객들도 '정리돼 보인다'며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도시경관을 포함한 공공디자인의 성공 여부에 대해 분분한 의견이 오가는 게 현실이다. 긍정적인 효과에 대한 방안을 고민해야 할 이유다. 이지안 경관전문가는 "설치물이 들어가면서 그 공간의 '랜드마크'가 된다면 아주 성공적인 사례로 볼 수 있다"며 "서울 MBC 사옥 앞 광장에 위치한 조형물의 경우 각종 예능프로나 영화에 자주 비춰지면서 대중성과 공공성을 갖춘 상징물이 됐다"고 호평했다. 최문희 크리에이터는 "도시경관이 큰 돈을 들여야만 한다는 생각은 버려야 한다"며 "벽화 하나만으로도 그 일대가 도시의 상징적인 공간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바람직한 도시경관에 대해 김 교수는 "주민과 관계자들과의 충분한 소통과 책임감이 뒤따라야 훌륭한 도시경관 디자인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최 크리에이터는 "전주 한옥마을이나 서울 홍대거리의 경우 가난한 예술가들이 만든 공간이지만 사람이 몰리고 상업시설이 난무하면서 젠트리피케이션으로 인해 정작 예술인들이 내몰리게 됐다"며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는 차원에서 제도적인 뒷받침이 반드시 수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세화 기자 kcjhsh9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