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세화 미디어부 기자 |
나에게 명상수행, 정확히 말해 '명상 상태의 의식으로 생활하기'는 2007년부터다. 결혼생활 4년차 무렵, 길지 않은 시간 동안 결혼, 임신과 출산, 육아에 재취업까지… 몸마음이 많이 지쳤을 때 명상원 스님과의 인연은 시작됐다. 스님은 나를 처음 본 날, 다짜고짜 우주의 섭리 얘기를 하셨다. 그 내용은 내 뇌가 받아들이기에 너무 큰 이야기였고 부담스럽기만 했다. 그럼에도 스님과의 인연은 계속됐고, 뜬구름 잡는 듯한 이야기에 대해 막연한 의구심이 들면서 호랑이굴에 뛰어드는 심정으로 수행을 해보기로 마음먹었다.
내 경험에 비추어 명상수행은 과학이었다. 1mm의 오차도 허용하지 않았다. 내면의 장애와 그로 인한 괴로움, 그 괴로움에서 기인한 바깥현상과의 함수관계는 놀라울 만큼 정교하게 작동했다. 이렇게 수행은 나에게 몸의 회복과 얼룩진 마음의 치유를 선물해줬다. 이전에는 "난 아무 문제가 없는데 상대방이 이상하다"는 논리에 갇혀 매사 주변 탓, 환경 탓만 하던 매력 없는 인간이었다. 물론 지금 매력이 넘친다는 얘기는 아니다. 이제야 겨우 남들과 비슷해진 정도다. 스스로 만든 괴로움으로 병들고 삐뚤어진 상태를 수행을 통해 하나씩 바로잡을 수 있었다. 그 덕에 몸마음이 가벼워졌고, 세상을 있는 그대로 바라볼 여유도 생겼다.
명상은 독실한 불자들만 한다는 생각은 편견이다. 난 전혀 독실하지 않다. 명상수행은 종교 이념에 맞추기보다는 인문학, 과학과 많이 닮아있는 영성치유의 한 방편이다. 불교는 모든 종교 중 유일하게 '신(神)'이 없는 종교다. 그런 관점에서 종교로 분류하기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부처는 신적 존재가 아닌 현존했던 인간으로서 '고집멸도(苦集滅道)' 즉, 무지(無知)에서 비롯된 괴로움을 멸해 지고한 평안에 이르는 길에 대해 49년간 설법한 선각자다. 진정한 행복은 아파트값이 올랐을 때의 기쁨이나 승진했을 때의 성취감이 아닌, 오직 '마음 비움'으로만이 얻어지는 희열이다.
지난 12일은 불기 2563년 '부처님오신 날'이었다. 국내 종교 중 불교 비율은 35%로 전체 중 3분의 1이 넘게 차지한다. 조계종의 경우 사찰수 3185개, 승려수 1만3327명에 신도수가 1200만명에 달한다. 우리나라 불교는 상당 부분 '기복(祈福)신앙' 차원으로의 발전이 크다. 하지만 이젠 변화해야 한다. 복을 바라기만 하는 의타적 자세가 아닌, 내면을 고요히 두어 스스로 복을 짓는 작복(作福)신앙으로써 종교를 마주할 필요가 있다.
한세화 기자 kcjhsh9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