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짧은 침묵의 순간 금세 눈물이 고이고 말았다. 말 문이 막힌 당신도, 귀 기울여 이야기를 듣던 나까지도, 툭 하고 눈물샘이 터졌다.
누군가의 이야기에 감정이 이입 된다는 건 그만큼 진정성을 느꼈기 때문일 거다. 인터뷰이가 아픔을 꾹꾹 눌러쓰는 시인이라서 그랬는지, 대전 산내 골령골 희생자 유가족인 신순란 씨의 이야기는 담담하면서도 아팠다.
좋은 기억이 아니라면 의도적으로 생각을 지우고 싶어 한다는 글을 본적이 있다. 정확한 출처를 밝힐 수 없지만 아마도 나쁜 기억은 트라우마로 변질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나조차도 실수한 일, 마법이 있다면 지우고 싶은 순간, 레드썬 하면 상대의 뇌에서도 삭제하고픈 기억들이 넘쳐난다. 나야 누군가에게 이런 이야기를 들려줄 일이 없으니 내 망각의 쓰레기통에 버리면 그만이다.
하지만 앞서 언급했던 신순란 어머니처럼 평생을 아픔과 비통함 속에 살아온 나의 인터뷰이는 트라우마처럼 가슴과 정신에 새겨진 기억들을 꺼내야 한다.
죄송하고 송구스럽지만, 대전형무소의 이야기는 아프고 아픈 이야기를 묻고 또 물어야만 하는 인터뷰였다.
"오빠를 대전형무소에 끌고 갔던 사람들이 얼마 뒤에 열 세 살 먹은 나를 산으로 끌고 간 적이 있어. 오빠에 대해서 다 말하라고 하더라고. 오빠는 똑똑해서 동네 사람들 까막눈 밝혀주는 사람이었거든. 어린 내가 아는 건 그거밖에 없었어. 계속 모른다 했더니 세 사람이 총부리를 나한테 겨눴어. 한참을 실랑이를 하다가 갑자기 나보고 돌아서래. 얼마나 무섭던지. 그 순간이 몇 시간처럼 길게만 느껴졌어. 다리가 후들거려서 나는 결국 주저앉고 말았어."
마치 영화 속 한 장면을 느린 배속으로 플레이하듯 기억의 필름도 천천히 돌아갔다. 오랜만에 인터뷰이와 나는 같은 감정과 같은 그림을 그리며 이야기를 나눴다. 인터뷰이의 기억이 나의 글로 이어지기까지 무려 70년, 세상을 바꾸기 위해서는 더 오랜 기다림이 필요하겠지.
대전형무소 그리고 골령골의 이야기는 여전히 수면 위로 나오지 못한 기억들이 많다.
대전형무소 망루는 4개가 아닌 7개였다는 것, 대전감옥소 설치는 1919년 이전부터 치밀하게 계획되고 있었다는 것, 개청일과 수감 인원에 대한 정확한 연구조차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점은 새롭게 역사를 발견한 기쁨과 더불어 우리가 반성해야 할 점이다.
대전형무소 100주년을 준비하면서, 산내 골령골 희생자 유족을 만나 인터뷰를 하면서 평생을 잊을 수 없는 기억을 하나 새겼다. 아무리 땅에 묻어도 되살아나는 기억이 있다는 것을 말이다.
사람은 아니지만 대전형무소와 골령골에 묻힌 이야기를 꺼내기 위한 인터뷰는 계속될 듯 하다.
이해미 교육문화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