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형무소 정문 |
대전형무소 100년을 기념하는 ‘대전시 근현대 역사문화사업에 대한 평가와 제언’ 심포지엄이 8일 옛 충남도청사 소회의실에서 개최됐다.
이날 심포지엄은 대전형무소의 역사성을 우리가 어떻게 받아들이고 보존해야 하는 가에 대한 전문가들의 제언이 쏟아졌다.
임재근 평화통일교육문화센터 교육연구팀장은 "대전감옥소 설치는 1917년부터 계획됐다. 1918년 고쿠부 상카이 사법부장관이 대전을 방문하고 설치를 결정했다는 기사가 당시 부산일보(일제가 발행한 신문) 1918년 2월 21일 자에 보도돼 있다. 당시 일제는 대전감옥 설치를 영등포 이남의 장기수를 넣는 것으로 한다는 의미를 담았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망루는 1기만 남아있다. 그동안 동서남북으로 망루가 4개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했지만, 국가기록원 소장 국유재산대장을 살펴본 결과 망루는 총 7개였음을 확인했다"며 새로운 발견에 대한 설명도 이어갔다.
임재근 팀장은 "최근 담벼락 터가 발견됐다. 추정이지만 현재 남아 있는 망루와 연결되는 담장터로 보인다. 이는 복토로 덮고 지나갈 일이 아니다"라며 "대전형무소와 관련된 고증된 사실에 맞게 기록물을 재정비하고 한국자유총연맹 단독 점유공간이 아닌 역사교육 현장으로 탈바꿈하면 어떻겠느냐"고 제안했다.
민양운 풀뿌리여성마을숲 공동대표는 형무소 터 위에 살고 있는 주민으로서의 자세와 활동 내역을 전했다.
민 대표는 "이곳을 어떤 방식으로 활용하느냐 논의하기 이전에 위령제 등 역사를 제대로 바라보는 역할이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대전형무소 관광자원화 정비사업은 민관시정 협치로 시작했지만 결국 공원 디자인이 주가 되는 이상한 사업으로 변질됐다. 역사성과 장소성에 관한 철학도 내용도 없이 다크 투어리즘 관광자원화를 앞세운 것이 얼마나 부적절하고 부실했는지 곱씹어 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근 대전시가 진행하고 있는 3·1운동과 옛충남도청사 활용 방안에 대해서도 사업의 주체인 대전시의 역할을 강조하는 전문가들의 의견도 이어졌다.
심규상 오마이뉴스 기자는 "3·1운동 기념사업이 4개분야 29개가 있는데 이 가운데 20개는 일회성 사업이다. 기념식과 재현행사와 같은 행사에 편중돼 있는 셈"이라며 "의미 있는 구상과 실행 체계가 보이지 않는다"고 역설했다.
안여종 대전문화유산울림 대표는 "최근 문화체육부가 대전시에 옛 충남도청 부지와 관련해 문체부 주도의 연수원으로 활용한다는 구상을 대전시에 전해 온 것으로 안다. 이 공간을 대전시민이 온전히 활용할 수 있도록 대전시의 발빠른 대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박규용 3·1운동 100주년 기념 대전추진위원회 공동대표는 "올해는 3·1운동 100주년과 형무소 100주년이다. 꼭 기억해야 할 일이다. 오늘 심포지엄에 나온 제언들이 정책에 반영되고 생활에 기억되는 일들이 있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