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북스 제공 |
조지은·송지은 지음│사이언스북스
성인이 외국어를 배우는 일은 왜 힘이 들까. 몇 개 국어를 구사하는 사람을 보면 언어도 재능으로 타고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태아에게 언어를 들려주는 태교가 혹시 그런 효과를 가져와 줄까. 2개 이상의 언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의 머릿속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나는 걸까.
성인이 되면 외국어 발음을 배우기가 힘든 이유는 뇌 지각체계의 변화 때문이다. 생후 약 6개월부터 뇌의 지각 체계는 모국어 소리에 최적화 되어간다. 첫 돌이 될 때쯤 말을 하기 시작하지만 이미 그 이전부터 말을 이해하기 시작한다.
책 『언어의 아이들: 아이들은 도대체 어떻게 언어를 배울까?』는 언어를 배우는 창조적 능력이 실제로 어떻게 발현되는지를 살펴보는 한편 이제 막 세상의 문을 여는 아이들의 언어 습득 블랙박스를 들여다봄으로써 언어 습득의 숨겨진 원리를 살펴본다.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언어학과 한국학을 가르치는 조지은 교수와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에서 연구원으로 있는 송지은 박사의 만남으로 탄생한 이 책은 두 언어학자의 학문적 탐구는 물론이고 실제 영국에서 이중 언어를 사용하는 두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로서, 외국어 화자로서 생활하는 경험까지 담겨 있다.
책은 총 4부에 걸쳐 아동 언어 발달, 음성학, 어휘와 문법, 이중 언어 습득이라는 큰 주제를 다루면서 다양한 관련 연구와 에피소드를 담고 있다. I부는 아이들의 언어 발달 과정에서 출발한다. 아이들은 청각기관이 어느 정도 발달하는 임신 28주 시기부터 엄마 몸을 지나 전달되는 저주파수대의 제한적 소리로 언어 습득을 시작한다. 생후 12개월 정도가 되면 처음으로 단어를 말하게 된다. 특정 시기를 놓치면 사고의 언어로 삼을 수 있는 모국어 형성에 실패하게 된다.
II부에서는 음성학적 말소리 연구를 통해 아이들이 소리의 세계를 터득해 가는 원리와 과정을 살펴보는 한편 한국어의 음성 특징을 다룬다. 귀가 들리지 않는 아기가 수화도 배우지 않고 그대로 방치된다면 어떤 종류의 언어도 배우지 못하는 것처럼, 인간이 가지고 있는 언어 습득 장치를 가동시키 위해서는 주변 말소리를 듣고, 음성의 실타래에서 단어 경계를 분절해 의미를 배워 나가야 한다.
Ⅲ부에서는 백지 상태의 아이들이 어떻게 단어의 의미를 터득해 가며 머릿속 사전을 만드는지, 더 나아가 어떻게 말의 구조와 의미를 분석하고 만들어 가는지 살펴본다. 아이들은 머릿속 사전에 '아무렇게나' 단어들을 집어넣지 않는다. 머릿속 사전은 패턴과 원칙이 있는 정리 방식 아래 형성된다.
IV부에서는 외국어 습득에 관한 질문들을 다루고 있다. 이중 혹은 다중 언어 사용은 세계적인 현상이다. 한국에서도 외국인 이주민 수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한국어가 아닌 모국어를 쓰는 사람들이 자녀를 키우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는 자연스러운 이중 언어 습득 환경이지만 우리 사회에서 자연스러운 이중 언어 습득의 기회가 제한되고 있지는 않은지 한번 생각해 볼 문제다. 여러 언어를 배우는 것이 인지 발달에 도움이 된다는 주장이 학계에서 점점 힘을 얻고 있다.
언어를 배운다는 것은 단순히 새로운 언어 지식을 습득하는 것 이상으로, 개인의 성격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언어의 아이들'이 그 언어를 잃지 않고 '언어의 어른들'로 자라기 위해서는, 언어라는 도구가 우리의 삶과 마음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박새롬 기자 onoino@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