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덕 교사 |
처음 나는 '잘 가르치는 교사'가 되고 싶었다. 임용 준비하면서 배운 유치원교육과정은 참 아름답고 자랑스럽기 까지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이들을 만난 나는 걱정이 많은 교사였다. 꼭 해야 할 것을 놓칠까봐, 아이들이 다칠까봐, 학부모에게 신뢰를 주지 못할까봐, 무엇보다 나의 말과 행동이 아이들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칠지 두려워 여러 가정들을 생각하느라 상호작용도 제대로 하지 못했을 정도였다. 내 수업은 아이들 수준에 맞지 않았고 아이들은 '그게 무슨 말이에요?'하는 어리둥절한 표정으로 바로보곤 했다. 나는 아이들에게 '선생님'이었기에 새벽까지 수업을 준비 하고 생활지도를 연구해야만 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조금씩 나아져갔지만 생각해보면 그런 노력을 할 수 있도록 한 것도 아이들이 내게 보내는 무한한 신뢰 덕분이었음을 느낀다. 부족한 내게 "선생님 사랑해요", "예뻐요", "재미있어요", "이건 비밀인데요, 나는 엄마보다 선생님이 더 좋아요" 하는 아이들의 칭찬들이 교사로서의 책임감과 용기를 되찾게 해주었던 것이다. 아이들이 나를 통해 세상을 알아가듯 나 또한 아이들에게서 신뢰의 힘을 배우게 되었다.
아이들과 생활하다보면 감정적 어려움을 겪는 아이들을 만나게 된다. 아이의 어려움은 그 아이 자신보다는 환경에서 오는 경우가 많고, 한 아이가 가진 어려움은 다른 많은 아이들에게 다양한 형태로 영향을 미치게 되어 교사는 문제를 조정하느라 에너지가 고갈되기도 한다. 내가 만난 아이는 부모의 이혼으로 조부모 손에 자라고 있었고, 가슴속에 화가 있는 듯 이유 없이 친구들을 때리거나 형들에게 조차 욕을 하는 아이였다. 조부모는 그런 아이가 버거웠고 안쓰러운 마음에 훈육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었다. 아이는 하루에도 여러 차례 문제를 일으켰고 그것은 다른 아이들의 불편함이 되었으며 급기야 그 아이와 놀이하지 않으려 했다. 같은 이야기도 한 두 번이지 나도 지쳐갈 때쯤 그 아이의 불편한 표정이 눈에 들어왔다.
"○○야! 친구를 힘들게 하는 너도 지금 힘들구나! 많이 힘들어?"
그동안 눈물 한번 보이지 않던 아이는 조용히 울었고 나는 그 아이의 아픔을 이해해주지 못했던 나의 부족함이 미안했다. 그동안 사랑한다고 안아주고 했지만 대부분 아이가 감정적으로 편안한 때였다. 사랑은 아이가 감정적으로 힘들 때 더 필요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랑하는 것이 진짜 사랑하는 것임을 깨달았다. 그 후 나의 교사상은'아이를 잘 이해하고 동행하는 교사'로 바뀌었다. '이해하면 사랑하고 사랑하면 더욱 이해하게 된다.'는 말이 있다. 나는 아이들의 삶을 들여다보고 사랑을 바탕으로 깊이 이해하고 나아가 아이의 삶과 배움의 현장에 함께하는 교사가 되고 싶다. 특히 유치원 시기의 아이들에겐 감정을 보듬어줄 보호자가 꼭 필요하다. 아이들의 세상은 순수하고 청명하기만 할 것 같지만 사실 아이들은 온몸으로 자기 삶을 살고 있다. 어른이 보기에는 아무것도 아닌 일에도 감정을 잘 조절할 수 없으므로 말 그대로 처절하게 자신의 감정을 고스란히 살고 있는 것이다. 그 때 내 품은 아이들에게 작은 위로가 되기 바란다.
우리 유치원 아이들은 "존경합니다"하고 인사하고 교사는 "사랑합니다" 라고 인사한다. 처음에는 존경합니다가 참 어려운 인사말이고 사랑한다는 말을 너무 흔하게 사용하는 것 같아 마음에 들지 않았었다. 아이들도 '존경'이 뭐냐고 물었다. 존경은 '당신은 생각을 잘하는 참 멋진 어른이고 앞으로도 멋진 어른이 되어주세요' 라고 설명해주었다. 지금은 그 인사말이 나에게 배움을 준다. 오늘도 나는 아이들의 존경에 걸맞게 통제보다는 자유로움 속 배움을, 아이의 잘못된 행동에도 그 아이의 선한 의도를 믿어주며, 아이들이 상황을 잘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는 나의 사랑으로 함께 배우고 성장해가고 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