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선진 대한여성과학기술인회 이사 |
얼마 전, 본인은 주변의 대학원생들이 학업을 중단하고, 공기업 취업을 준비할 계획이라는 소식과 그런 선택을 하게 된 이유들을 직간접적으로 듣게 되었다. 그들이 이공계 대학원에 진학을 할 때에는 과학기술 분야의 전문가, 과학기술자로 살고 싶은 꿈을 가지고 있었을 터인데, 과학기술 분야에서의 취직이 어렵고 취직이 되더라도 정년이 보장되지 않아 불안했을 것이다. 현실이 이러하다 보니 재수 삼수를 해서라도 공기업에 도전할 것이고, 고졸 이상이기만 하면 학력을 묻지 않는 블라인드 채용이라 대학원 졸업을 하는 것은 시간 낭비일 뿐이라는 생각을 했으리라. 대다수 학생들은 열심히 과학기술의 매력에 빠져 꿈을 키워나가고 있을 것이라 위안해보지만, 평생을 과학기술자로 살아온 본인에게는 참으로 자괴감이 드는 대목이다.
인터넷에서 '과학자'라는 단어를 검색해보니, "신소재를 연구하고 개발하는 과학자가 되고 싶은데 어떻게 하면 될까요?"와 같은 초등학생의 귀여운 질문도 있고(참고로, 본인은 평생을 소재를 재미있게 연구하고 있는 평범한 과학자이다), 훌륭한 과학자들의 업적을 소개하는 글들도 있었으며, 해외 기술 선진국들의 과학자들이 어떻게 그 사회에 공헌하고 있는지를 소개하는 글들도 읽을 수 있었다. 요즘과 같은 정보의 홍수 속에서 막연하게 '과학이 쉽고 재미있다'는 것으로 미래 세대들이 '과학기술자'라는 '직업'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는 없을 것 같다. '천성적으로 게으른' 두뇌를 사용해 평생을 일하지만, '호기심과 재미'가 두뇌의 게으름을 이길 만큼 강해야 한다. 또한 충분하고 안정적인 보상이 보장되어 있지 않고, 하고 싶은 연구만을 할 수도 없다. 기업이든 연구소든 가시적인 성과를 보이지 않으면 연구를 지속할 수도 없다. 더구나 우리나라의 과학기술자는 일반 대중들과 공감할 수 있는 기회가 별로 없고, 특히, 기초과학과 원천기술 분야 연구자들의 단절감은 더욱 크다. 이와 같은 일련의 이유로 미래 세대들이 '과학기술'은 동경하지만 '과학기술자'는 동경하지 않는 건 아닐까?
생활 속에 과학기술이 녹아들어 과학기술자가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해결사들이라는 것을 공감하고, 사회발전에 유익을 끼치는 것을 체감할 수 있으면 어떨까? 유럽 과학기술 선진국에서는 주민들과 함께하는 과학 커뮤니티가 사회의 기술발전에 기여하는 중요한 매개체 중의 하나라고 인식된다고 한다. 한국에도 과학기술인 커뮤니티가 있고, 특히 '고경력과학기술인'(연구기관, 대학, 또는 과학기술관련 정부부처에서 연구 활동을 하다 퇴직한 과학자·기술자·관리자) 커뮤니티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은 지식과 경륜을 살려 과학기술 및 사회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네크워크 구축 및 상호 의사소통을 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런 커뮤니티 활동이 단지 은퇴과학자들을 활용하기 위한 처방으로 그치지 말고, 보다 적극적으로 재직 과학기술자들까지 아울러서 사회 속에서 그 가치를 실현해나가고, 그 안에서 미래 세대가 롤모델을 찾을 수 있도록 확대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해보았다.
'행복한 과학기술자'들과 주민이 또는 작은 기업들이 함께 문제를 풀고 해결해 나가는 장을 만들어서 '내가 살고 있는 지역 사회'에 공헌하여 보람을 느끼고, '미래 과학기술자'를 육성할 수 있도록 중앙 및 지방정부, 민간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한 때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