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중년이 되었건만 아내도, 고등학생 딸도 있는 처지에 바람이 난 남자. 이 사실을 알게 된 딸은 어른보다 사려 깊어 엄마가 알지 못하기를 바랍니다. 첫 장면 아빠가 엄마 아닌 여자를 만나는 곳을 들여다보는 주리의 시선은 영화 내내 이어집니다. 알고 있는 딸에게 모를 거라 생각하며 겉만 빙빙 도는 대화를 던지는 아빠를 보며 관객은 실소하게 됩니다. 저 사람 딸만도 못하네. 철이 없기로는 바람의 상대인 여자도 마찬가지. 대책도 없고, 몸 관리도 못하면서 아이를 낳기로 합니다. 여기도 고등학생 딸이 엄마보다 낫습니다. 어떻게 할 건지, 애 아빠는 엄마랑 결혼한다는지, 그쪽 가족과 결별한다는지 묻습니다. 엄마는 아무 말도 못합니다. 그저 사랑이라 믿는 것 하나만 붙드는 엄마는 위태롭기 짝이 없습니다. 어른스럽지 못한 어른과 나이는 어리지만 어른처럼 속 깊은 아이들. 세상은 이렇게 모순 속에 있습니다. 그럼에도 어느 나이에 선을 그어 성년, 미성년으로 구분하고 할 수 있는 일과 할 수 없는 일을 가릅니다.
딸과 엄마, 그리고 아빠. 또 다른 쪽의 엄마와 딸. 영화는 이 다섯 사람의 관계를 촘촘하게 엮어갑니다. 이들이 서로 만나 대화하고 갈등하고 화해하는 것을 어느 한 쪽에 치우치지 않고 균형 있게 그려냄으로써 전형적인 막장 드라마나 악인들의 패륜으로 흘러가지 않습니다. 맨 안쪽 가운데 있는 아빠이자 남편이자 바람난 남자가 가장 입장 난처한 존재입니다. 원인 제공자이면서도 사태 해결에 가장 무기력합니다. 엄마들의 갈등과 화해는 전형성을 벗어나 입체적이고 개연성 있습니다. 딸들은 어느 면에서 가장 큰 피해자입니다. 더구나 다른 데 신경 쓸 여력이 없는 입시 준비생들이니까요. 가장 먼 관계인 이들은 가장 크게 갈등하면서도 어른들의 아픔과 모순을 끌어안습니다.
아이가 자라 어른이 되는 것을 성장이라 합니다. 그러나 어른이 되면 과연 성숙할까요? 그냥 사람일 뿐 아닐까요? 흔들리고, 실수할 수 있는 그런. 반대로 어려도 남의 아픔을 생각하고, 품을 수 있다는 걸 영화는 보여줍니다. 이 영화는 <남한산성>(2017), <1987>(2017) 등에서 열연한 배우 김윤석이 내공 있는 연출력을 발휘한 작품이기도 합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