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 금요일 청주에 갔다. 지난해 12월 '국립현대미술관 청주'가 개관했다. 담배공장을 리모델링한 청주관은 과천, 덕수궁, 서울에 이어 네 번째 국립현대미술관 분점이다. 기차로 오송역까지 가서 시내버스를 타고 우여곡절 끝에 미술관 앞에 서자 가슴이 벅차올랐다. 규모가 꽤 큰 웅장한 건물이었다. 흰색의 외관이 현대적이어서 멋들어졌다. 청주관은 수장형 미술관이다. 작품 보관과 함께 관객에게 개방도 하는 곳이다. 1층에 들어서자 웅성거리는 소리가 요란했다. 진천의 고등학교에서 단체 관람 왔단다. 안내 데스크에서 시끄러우니까 5층부터 관람하면서 아래로 내려오라고 조언했다. 여긴 많은 작품이 수장돼 있어 훼손되는 걸 방지하기 위해 음식을 먹으면 안된다. 물도 물론이다. 곳곳에선 공기청정기가 가동 중이었다.
작품은 다양했다. 영상, 그림, 조각, 설치미술 등 현대미술을 아울렀다. 물건을 진열해 놓은 듯한 창고형 미술관이어서 특이했다. 미술품이 복원되는 과정을 볼 수 있는 공간도 마련됐다. 작품을 감상하면서 아는 작가가 있어 반가웠다. 백남준, 권진규, 이불, 최종태 그리고 임흥순. 임흥순의 다큐 영화 '위로공단'은 베니스 비엔날레 미술전 은사자상을 수상해서 화제가 됐었다. 작가는 봉제공장 시다로 40년을 일한 어머니가 이 작품의 모티프라고 했다. 한 시간이 넘는 영상을 보면서 예술과 사회성의 관계를 생각했다. 순수예술과 참여예술은 각자 가치가 있다. 허나 현실을 반영한 예술은 가슴을 울린다. 작가 김훈은 화가 오치균의 그림에 경도돼 그와의 대화를 글로 썼다. 오치균은 고향 강원도 사북에 천착한 화가다. 한줄기 온기도 느낄 수 없는 검은 마을 사북을 그린 오치균은 "길들여지지 않은 시선으로 세상을 보려 한다. 나는 세상과의 관계를 매끈하게 유지하지 못한다"고 말했다.
1층까지 보고나니 오후 2시가 넘었다. 뱃속에서 화차 지나가는 소리가 들렸다. 미술관 밖은 마무리 공사가 한창이었다. 대로변에서 여기저기 둘러봤지만 식당이 안보였다. 가지를 뎅강뎅강 잘라놓은 플라타너스 가로수만 보였다. 몸통만 남은 나무가 영락없이 토르소 같다. 골목으로 들어가 주민인 듯한 아저씨에게 물었다. "저 식당 가보쇼. 설렁탕, 육개장집인데." 밥때가 지나서 식당은 한가했다. 육개장을 시켰다. 어라? '육개장이 거기서 거기지 뭐'라고 기대를 안했는데 맛있었다. 국물이 풍미가 있으면서 담백했다. 대개의 육개장은 고춧가루를 들이부은 것처럼 뻘겋고 맵다. 이 집 육개장은 품격이 있고 느끼하지도 않았다. 고슬고슬한 쌀밥도 한몫 했다. 이만하면 금상첨화다. 모름지기 밥집은 밥이 맛있어야 한다. 반찬이 훌륭해도 밥이 후지면 안 가게 된다. 육개장을 먹고 나와서 미술관을 바라보며 다음을 기약했다. 그땐 뭘 먹을까?
우난순 기자 rain4181@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