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미술관 앞 육개장집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미술관 앞 육개장집

  • 승인 2019-04-24 10:54
  • 신문게재 2019-04-25 22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육개장
처음 봤을 때 인상이 너무 강렬해서 잊혀지지 않는 것들이 있다. 뭉크의 '절규'라는 그림이다. 고등학교 시절 미술책에 실린 이 그림을 본 순간, 내 안에 잠재된 어떤 감정을 건드리는 느낌이어서 당혹스러웠다. 핏빛 노을을 배경으로 공포에 질린 커다란 눈과 두 손으로 귀를 막으며 입을 벌린 해골같은 인물. 금방 외마디 비명소리가 들릴 것 같았다. '절규'는 다른 그림들과는 달랐다. 악몽을 마주하는 듯한, 마성의 괴기스러움이 존재했다. 미술작가는 종종 또다른 작가들의 찬미의 대상이 되곤 한다. 릴케의 『릴케의 로댕』과 장 주네의 『자코메티의 아틀리에』가 그렇다. 오스트리아 작가 페터 한트케는 세잔의 '생트빅투아르 산'을 보고 『세잔의 산을 찾아서』라는 기행집을 썼다. 한트케는 화가의 산을 찾은 이유를 이렇게 고백했다. "단 한번도 무엇인가에 이끌려본 적이 없는 삶, 그러나 너무도 쉽사리 나를 이끈 것은 바로 생트빅투아르 산이었다."

지난 주 금요일 청주에 갔다. 지난해 12월 '국립현대미술관 청주'가 개관했다. 담배공장을 리모델링한 청주관은 과천, 덕수궁, 서울에 이어 네 번째 국립현대미술관 분점이다. 기차로 오송역까지 가서 시내버스를 타고 우여곡절 끝에 미술관 앞에 서자 가슴이 벅차올랐다. 규모가 꽤 큰 웅장한 건물이었다. 흰색의 외관이 현대적이어서 멋들어졌다. 청주관은 수장형 미술관이다. 작품 보관과 함께 관객에게 개방도 하는 곳이다. 1층에 들어서자 웅성거리는 소리가 요란했다. 진천의 고등학교에서 단체 관람 왔단다. 안내 데스크에서 시끄러우니까 5층부터 관람하면서 아래로 내려오라고 조언했다. 여긴 많은 작품이 수장돼 있어 훼손되는 걸 방지하기 위해 음식을 먹으면 안된다. 물도 물론이다. 곳곳에선 공기청정기가 가동 중이었다.

작품은 다양했다. 영상, 그림, 조각, 설치미술 등 현대미술을 아울렀다. 물건을 진열해 놓은 듯한 창고형 미술관이어서 특이했다. 미술품이 복원되는 과정을 볼 수 있는 공간도 마련됐다. 작품을 감상하면서 아는 작가가 있어 반가웠다. 백남준, 권진규, 이불, 최종태 그리고 임흥순. 임흥순의 다큐 영화 '위로공단'은 베니스 비엔날레 미술전 은사자상을 수상해서 화제가 됐었다. 작가는 봉제공장 시다로 40년을 일한 어머니가 이 작품의 모티프라고 했다. 한 시간이 넘는 영상을 보면서 예술과 사회성의 관계를 생각했다. 순수예술과 참여예술은 각자 가치가 있다. 허나 현실을 반영한 예술은 가슴을 울린다. 작가 김훈은 화가 오치균의 그림에 경도돼 그와의 대화를 글로 썼다. 오치균은 고향 강원도 사북에 천착한 화가다. 한줄기 온기도 느낄 수 없는 검은 마을 사북을 그린 오치균은 "길들여지지 않은 시선으로 세상을 보려 한다. 나는 세상과의 관계를 매끈하게 유지하지 못한다"고 말했다.

1층까지 보고나니 오후 2시가 넘었다. 뱃속에서 화차 지나가는 소리가 들렸다. 미술관 밖은 마무리 공사가 한창이었다. 대로변에서 여기저기 둘러봤지만 식당이 안보였다. 가지를 뎅강뎅강 잘라놓은 플라타너스 가로수만 보였다. 몸통만 남은 나무가 영락없이 토르소 같다. 골목으로 들어가 주민인 듯한 아저씨에게 물었다. "저 식당 가보쇼. 설렁탕, 육개장집인데." 밥때가 지나서 식당은 한가했다. 육개장을 시켰다. 어라? '육개장이 거기서 거기지 뭐'라고 기대를 안했는데 맛있었다. 국물이 풍미가 있으면서 담백했다. 대개의 육개장은 고춧가루를 들이부은 것처럼 뻘겋고 맵다. 이 집 육개장은 품격이 있고 느끼하지도 않았다. 고슬고슬한 쌀밥도 한몫 했다. 이만하면 금상첨화다. 모름지기 밥집은 밥이 맛있어야 한다. 반찬이 훌륭해도 밥이 후지면 안 가게 된다. 육개장을 먹고 나와서 미술관을 바라보며 다음을 기약했다. 그땐 뭘 먹을까?
우난순 기자 rain4181@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이번주 대전 벚꽃 본격 개화…벚꽃 명소는?
  2. [속보] 4·2재보선 충남도의원 당진 제2선거구 국힘 이해선 후보 당선
  3. '미니 지선' 4·2 재·보궐, 탄핵정국 충청 바닥민심 '가늠자'
  4. [속보] 4·2재보선 대전시의원 민주당 방진영 당선…득표율 47.17%
  5. [사설] 학교 '교실 CCTV 설치법' 신중해야
  1. 세종시 문화관광재단-홍익대 맞손...10대 관광코스 만든다
  2. 대전 중1 온라인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재시험 "정상 종료"… 2주 전 오류 원인은 미궁
  3. 올해 글로컬대학 마지막 10곳 지정… 지역대 사활 건 도전
  4. [사설] 광역형 비자 운영, 더 나은 방안도 찾길
  5. 세종대왕 포토존, 세종시의 정체성을 담다

헤드라인 뉴스


윤석열 대통령 전격 파면… 헌재 8명 만장일치 `인용`
[이슈] 청소년 비행 잡고 불법촬영 막아주는 대전자치경찰위 `과학치안`
[이슈] 청소년 비행 잡고 불법촬영 막아주는 대전자치경찰위 '과학치안'

"이곳에서 술을 마시면 안 됩니다", "담배 피우지 마세요" 인적이 드문 골목이나 공원에서 청소년들이 음주와 흡연을 하며 비행을 저지를 때 인공지능(AI)이 부모님을 대신해 "하지 말라"고 훈계한다면 어떨까. 실제로 대전 대덕구 중리동의 쌍청근린공원 일대에는 어른 대신 청소년들의 일탈과 비행을 막는 스마트 AI 폐쇄회로(CC)TV가 설치돼 있다. 영상카메라라는 '눈'을 통해 AI가 담배를 피우는 동작과 술병 형태, 음주하는 행위를 감지해 그만할 때까지 경고 음성을 내뱉는 것이다. 이는 전국에서 처음으로 대전자치경찰위원회가 과학기술업..

`결국 폐업`…1분기 충청권 건설업 폐업신고 17건
'결국 폐업'…1분기 충청권 건설업 폐업신고 17건

올해 1분기 폐업 신고를 한 종합건설업체가 160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0년 이후 같은 분기 대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충청권 건설업체 폐업 신고 건수는 17곳으로 집계됐다. 3일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SCON)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3월까지 종합건설업체의 폐업 신고 건수(변경·정정·철회 포함)는 모두 160건으로 조사됐다. 이는 2024년 1분기(134건)보다 약 12% 늘어난 수준이다. 1분기 기준으로 비교하면, 2020년 이후 가장 큰 규모다. 최근 5년간 1분기 폐업 신고 건수는 ▲2024년 134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윤석열 대통령 파면에 기뻐하는 시민들 윤석열 대통령 파면에 기뻐하는 시민들

  • ‘윤석열을 만장일치로 파면하라’ ‘윤석열을 만장일치로 파면하라’

  •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 한산한 투표소 한산한 투표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