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
문화계 인사들은 2차 문화도시 지정에서 대전이 또다시 탈락할 경우 대전 방문의 해를 슬로건으로 내건 시 이미지에도 흠집이 생길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이에 두 달이라는 시간적 제약 안에서 제대로 된 협의와 방향성을 제시하고 추진할 수 있도록 집중해야 한다는 조언을 쏟아지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추진하는 문화도시는 지역 고유의 문화적 자산을 활용해 도시브랜드를 창출하고 지역 사회 경제 활성화를 모색하자는 취지다. 문화예술, 문화산업, 관광, 전통, 역사, 영상 등 분야별로 문화도시 지정이 가능해 도시브랜드 설정과 스토리텔링에도 힘을 실어줄 전망이다.
대전시는 기초 지자체(시·군·자치구) 지원이 아닌 광역 지자체(시·도)로 노선을 바꿨다. 전국에서 광역 지자체로 문화도시 지정을 받은 곳은 대구가 유일하다. 시는 지난해 동구와 중복 지원으로 탈락했던 경험을 반면교사 삼아 5개 지자체와 힘을 합쳐 공모에 나선다는 복안이다.
지난달 박만우 대전문화재단 대표이사는 문화기자단 간담회에서 “지자체별로 테마가 있어야 한다. 환승역 주변으로 문화도시 거점으로 삼고 5개구가 상생해서 공존하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고 문화도시의 기본 틀을 설명한 바 있다.
5개구가 상생하는 문화는 결국 주민이 주도하고 참여하되, 사회공헌이 가능한 생활문화공동체로 귀결된다. 대전의 경우 꿈의 오케스트라, 마을 합창단이 주요 테마로 포함될 가능성도 농후하다.
문제는 촉박한 일정이다.
문화도시 2차 지정 접수 기한은 6월 21일부터 28일까지다. 대략 두 달여가 남았지만, 자문위 구성, 추진위 구성, 테마 설정, 세부계획 조정에 이어 접수까지 추진하기에는 다소 촉박한 시간이다.
대전문화재단 관계자는 “오는 25일 대전시와 최종 협의를 통해 방향을 설정한다. 이미 TF는 구성돼 있고, 향후 추진위와 자문위를 통해 속도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문화계 관계자는 “1차 탈락은 시와 동구가 개별적으로 추진하면서 마찰이 생겼고, 사업 내용도 부실했다. 문화도시 지정은 매년 지원할 수 있겠지만, 2차마저 탈락하면 문화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추진력은 상실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짧은 시간 내에 완벽한 계획이 나올지 우려감은 여전하다. 시와 문화재단, 지자체의 상생은 물론이고 전사적인 추진 의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문체부는 2019년부터 매년 5~10개 문화도시를 지정할 방침이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