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봄 제공 |
필립 샌즈 지음│정철승·황문주 옮김│더봄
한 통의 초대장이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 법학교수인 필립 샌즈에게 전해진다. 발신지는 우크라이나의 리비우대학. 샌즈는 '리비우'라는 지명에 끌린다. 돌아가진 외할아버지의 고향이기 때문이다. 할아버지는 한 번도 자신의 인생 전반에 걸쳐 겪었던 일에 대해 말해 준 적이 없었다. 할아버지에게는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말해줄 수 없었거나, 말하고 싶지 않았을 할아버지의 삶. 리비우에서 온 초대장은 샌즈에게 마치 자신을 부르는 할아버지의 편지같았을지도 모르겠다.
샌즈의 외할아버지가 태어난 1904년, 리비우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속해 있었다. 우크라이나인, 폴란드인, 유대인 등의 민족이 어우러져 살아온 땅으로, 시시각각 바뀌는 지배자의 언어에 따라 렘베르크, 로보프, 리보프, 리비우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역사의 격류에 휩쓸렸다. 그런데 리비우는 샌즈 외할아버지의 고향만은 아니었다. 국제법의 중요한 개념인 '제노사이드'와 '인도에 반하는 죄'를 연구한 두 명의 유대계 법학자, 즉 렘킨과 라우터파하트 역시 같은 도시에서 공부했던 것이다. 두 법학자의 이론은 2차 대전 승전국인 연합국의 검사들이 나치 전범들을 합당한 죄목으로 기소하는 토대가 됐다.
할아버지와 두 법학자에게는 또다른 공통점도 있었다. 모두 유대계이고 나치의 유대인 학살로 일가가 몰살당했다는 점이다. 그들의 삶은 1945~1946년 나치 독일의 전범들을 심판한 뉘른베르크 군사재판에서 조우한다. 그 재판장에는 세 일가가 죽임을 당하는데 결정적인 '유대인 말살' 명령을 내린 나치독일의 폴란드 총독이었던 한스 프랑크가 등장한다.
샌즈는 이 책을 '이중 탐정소설'로 규정한다. 외할아버지의 비밀스런 삶을 추적하면서 국제인권법의 기원을 탐험하기 때문이다. 한편으로는 가족에 대한 회고록이자 인권과 정의에 대한 개념이 탄생한 뉘른베르크 재판을 둘러싼 국제정치 논픽션, 유대인 학살을 명령한 전범들을 단죄하기 위한 두 변호사의 법정 드라마로도 읽을 수 있다.
샌즈는 한국어판 서문에서 작가 한강의 『소년이 온다』를 읽고, 모든 공동체가 '제노사이드'와 '인도에 반하는 죄'의 관념과 관계가 있다는 걸 깨닫게 됐다고 말한다. 그리고 한국에서 '정의가 외면당하거나 부당하게 실현됨으로써 갖게 된 각자의 상처와, 같은 의식을 가진 개인이나 집단이 있는 지역'은 어떤지 궁금해 한다. 일제 강점기와 노근리 학살, 4·19와 5·16, 유신과 5·18이라는 아픈 역사가 여전한 한국에서도 유효한 깨우침을 얻을 수 있을 책이다.
박새롬 기자 onoino@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