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6년 최초의 컴퓨터가 계산용으로 개발된 이후로 인간의 지각능력을 지닌 컴퓨터의 개발을 위한 방향으로 기술이 지속으로 발전하여, 인간의 능력을 뛰어넘는 컴퓨터가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1997년 IBM의 인공지능 딥블루가 세계 체스 챔피언을 상대로 승리하였고 2011년에는 미국의 퀴즈 프로그램에서 왓슨(IBM의 인공지능)이 인간과 경쟁하여 역대 최고의 우승기록을 기록하였다. 하지만 가로 세로 19개의 줄로 이루어진 바둑판 위에서 행해지는 바둑은 경우의 수가 너무 많아 아무리 컴퓨터기술이 발전해도 인간의 경지에는 이르지 못할 것으로 여겼으며, 그렇기에 2016년 구글에서 만든 인공지능 알파고와 세계적 바둑기사인 이세돌 간의 매치는 대부분 인간의 압도적 승리를 예상하여 처음에는 세간의 주목을 크게 받지는 못했다. 하지만, 세간의 예상과는 달리 알파고가 연승을 하고 최종 4승 1패의 압승으로 끝났을 때, 사람들은 경악하였고 이세돌이 4번째 경기를 승리했을 때 사람들은 엄청난 환호를 보였다. 4번의 승리를 보면서 사람들은 인공지능의 한계를 염려하였으며 머지않아 인간처럼 생각하고 판단하는 인공지능의 출현을 예상하게 되었다.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10가지 위험에 관한 보고서를 스웨덴의 비영리 단체인 '글로벌 챌린지스 파운데이션(GCF)'에서 2018년도에 발표했는데, 이 위험에는 핵전쟁, 지구온난화, 생태계 파괴 등과 함께 인공지능을 포함되어 있었다. 나아가 인공지능이 테러나 기후변화보다 더 위험하다고 진단하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여기서 많은 사람들은 AI가 위험한 이유를 4승에 두지만 필자는 이세돌이 이긴 그 4번째 경기에 있다고 본다. 알파고는 7개월 동안 160000기보를 학습하며 바둑을 배웠다. 그런데 신의 한수라고 일컬어지는 제4대국에서 이세둘이 둔 78번째 수는 과거에는 없던 수였다. 즉, 컴퓨터가 학습하는 데이터는 현재를 기준으로 과거에 존재하는 것을 이용하며 이는 미래를 예측하는데 완벽한 정보가 될 수 없다. 미래를 예측할 때의 과학적 추론은 미래는 현재를 기준으로 과거와 독립적이라는 것이다. 내일의 날씨는 어제의 날씨보단 오늘의 날씨에 더 큰 영향을 받는 다는 것이다. 즉, 어제 비가 왔더라도 오늘 날씨가 맑았다면 내일 비올 확률보단 맑을 확률이 높다는 뜻이다. 이렇듯 AI가 학습하는 데이터는 과거에 존재했던 정보지만 인간은 과거와는 아주 다른 미래를 전개하는 능력이 있다. 즉 상상력이 있다는 것이며, 이는 인공지능에게는 존재하지 못한 능력이며, 결국 인공지능이 많은 부분에서 인간의 역할을 대신하겠지만 그렇다고 절대로 인간을 뛰어넘어 인간을 지배하는 시대는 오지 않는 이유이다.
인공지능이 정작 위험한 이유는 이세돌과의 제4대국처럼 인공지능의 작동원리를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많은 부분을 인공지능이 인간을 대체하고 있기에 인공지능의 오작동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혼란에 대비하는 기술이 부족하다는 것에 있다. 즉, 인공지능은 우리에겐 블랙박스라는 것이며, 이런 문제의 해결은 결국 인공지능의 작동원리를 제공하는 기술자에 의해서 해결될 수 밖에 없으며 그 원리는 수학에 기반을 두고 있기에 인공지능이 발전할수록 수학의 역할에 대한 기대가 그만큼 커지고 있으며, 그러기에 수학의 교육을 강조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