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우'는 24절기 중 여섯번째 절기로 청명(淸明)과 입하(立夏) 사이에 있습니다. 음력으로는 3월 중순경으로 양력 4월 20일 무렵에 해당합니다. 곡우는 '봄비[雨]가 내려 백곡[穀]을 기름지게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곡우 무렵엔 못자리를 마련하면서 본격적으로 농사철이 시작됩니다. 이에 "곡우에 모든 곡물들이 잠을 깬다", "곡우에 가물면 땅이 석자가 마른다", "곡우에 비가 오면 농사에 안좋다", "곡우가 넘어야 조기가 운다"와 같은 농사와 관련한 다양한 속담들이 전해지는데요.
곡우에 관한 속어, 그 뜻을 아시나요?
곡우가 넘어야 조기가 운다
조기는 산란할 때와 산란을 마쳤을 때 소리내어 우는 습성이 있습니다. 그 시점이 곡우 전후쯤인데요. 전남 흑산도 근해에서 겨울을 보낸 조기가 곡우 때가 되면 북상해 충청도로 올라가는데, 이때 잡은 고기를 곡우살조기 또는 오사리조기라고 합니다. 곡우살조기는 크지는 않지만 연하고 맛이 있어 가장 좋은 일품으로 칩니다.
곡우에는 못자리를 해야 한다
농경 사회에서는 곡우 무렵이면 농번기에 접어들어 농사일을 서두릅니다. 가래질, 논둑 다지기, 논갈이 그리고 못자리 만들기가 이 무렵의 대표적인 농사일인데요. 청명 즈음 겨우내 얼었던 논둑에 물이 새지 않도록 가래질을 하고 쟁기로 논을 갈아 못자리를 만드는데, 이때가 곡우 무렵입니다.
볍씨를 일주일 가량 물에 담가서 싹을 틔우고 가래질과 못자리를 장만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요. 재래종 벼는 신품종보다 스무날 정도 늦게 못자리를 하기 때문에 곡우 무렵 못자리를 해야 농사에 차질이 없습니다. 옛날에는 벼농사의 파종이 있는 곡우 무렵에는 죄인도 잡아가지 않을 정도였다고 하네요.
곡우에 비가 오면 풍년이 든다
곡우는 양력 4월 20일쯤, 음력으로 3월의 절기이자 봄의 마지막 절기입니다. 농경 사회에서는 곡우 무렵 못자리 할 준비로 볍씨를 담갔는데, 재래종 벼는 신품종보다 약 20일 정도 늦게 못자리를 했기 때문에 시기적으로 곡우에 하게 됐답니다. 그래서 곡우에 비가 내리면 못자리하기에 제격이고, 못자리가 잘 되면 가을에 큰 수확을 기대할 수 있었답니다.
곡우 무렵 마시는 차로는 '우전차'가 있는데요. 우전(雨前)은 다 자라지 않은 찻잎의 여린 차순으로 맛이 순하고 향긋해 최상품으로 꼽히지만 양이 적어 귀합니다. 이 우전차는 다산 정약용 선생이 즐겨 마신 차로도 유명합니다. 차를 좋아하기로 유명한 다산이 차 맛에 빠지게 된 계기가 유배생활 초기 고성사의 스님에게서 우전차를 얻어 마시게 된 데부터 시작됐다고 합니다.
<내용출처=한국민속대백과사전>
한세화 기자 kcjhsh9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