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세화 미디어부 기자 |
실험은 4살 된 아이들에게 마시멜로 한 개가 있는 접시와 두 개가 있는 접시를 보여주며 시작된다. 선생님은 "여기 마시멜로가 하나 있어. 바로 먹어도 되지만 내가 나갔다 돌아올 때까지 먹지 않고 있으면 두 개를 먹을 수 있어"라고 말한 뒤 마시멜로 한 개가 있는 접시를 두고 나간 후 15분 뒤에 들어온다. 이 상황을 마주한 아이들은 두 부류로 나눠졌다. 선생님이 나가자마자 먹은 아이들과 선생님이 올 때까지 마시멜로를 먹지 않고 기다린 아이들. 스탠포드 연구진이었던 미셸은 이 실험에 참여했던 아이들을 15년 후 다시 만났고, 그 결과 마시멜로를 먹지 않고 끝까지 참았던 아이들은 성장 과정이 훌륭했고 대인관계도 좋았으며, 학업 성적도 우수했다고 설명한다. 반면, 선생님이 나가자마자 마시멜로를 먹어버린 아이들은 약물중독이나 사회 부적응 등의 문제를 보였다고 했다. 이에 미셸 박사는 1981년 어린시절 인내심을 발휘했던 아이들은 자라서도 성공적인 삶을 살고 있었고, 그렇지 못한 아이들은 주위의 유혹에 잘 흔들리는 어른으로 성장한다는 결과를 발표했다. 이런 내용이 담긴 '마시멜로 이야기'는 당시 엄마들 사이에서 인성교육의 교본처럼 인식돼 한동안 큰 인기를 끌었다. 나 역시 "인내심은 학업 우수와 직결된다"는 신념으로 딸아이가 참을성 없는 행동을 보일 때마다 마시멜로 실험을 들먹이며 지진한 설교를 반복했던 기억이 난다.
하지만 마시멜로 실험은 '오류'였다. 미 뉴욕대와 UC어바인 공동연구진이 918명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실험 결과, 마시멜로를 먹지 않고 참은 아이와 10~20년 뒤 성공과의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고 밝혔다. 연구진들은 당시 실험대상 아이들의 설정 등 몇 가지 모순을 지적했고, 마시멜로 유혹에 넘어가는 아이들의 경우 '인내심 부족' 보다는 아이의 성장 환경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사실들은 나로 하여금 반성하게 만들었다. 실험 결과의 진위를 떠나 남이 정해준 논리에 딸아이를 끼워 맞추려 했던 나의 무지함이 부끄러울 뿐. 아이의 교육에 정답이 있다고 믿었던 내 생각이 '오류'였다.
이 세상에 '그러해야만 하는 아이'는 없다.
한세화 기자 kcjhsh9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