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용도 미술비평가 |
물리적인 삶을 에너지나 정신의 하위개념으로 바라보던 관점들이 감각적 이성과 촉각적인 포스트모더니즘 문화에 의해 새로운 방향성을 획득하고 있다. 21세기 디지털 기술은 학문적으로나 과학적으로 그동안 미지의 세계로 생각돼 왔던 인간의 감각적 차원들을 설명하고 활용할 수 있게 해준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과 사물인터넷은 그동안 적절하게 설명하기 힘들었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사유와 성찰의 대상에서 제외돼 왔던 인간의 감각이 추구하는 삶의 본질들에 새로운 방향성과 잠재성을 부여하고 있다. 이는 감각적 접근들이 물질적인 판단에 기초한 개념화가 아니라 인공적인 기술들에 근거한 현실들을 창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문화적 상황 역시 촉각적인 감수성에서 그 방향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문화가 역사적 굴레로부터 벗어나 새로운 삶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가능성이 그 어느 때보다도 더 커졌기 때문이다. 20세기 초의 독일 문화이론가 발터 벤야민은 독일 제3제국의 히틀러나 이탈리아의 무솔리니 시기의 통치 방식을 "정치의 예술화"라고 정의했다. 말하자면 국민에게 근거 없는 우월감을 심어줘 자신들 이외의 민족이나 국가들을 순화시킬 타자들로 보는 것이다. 이런 낭만적인 감수성에서 나오는 우월감은 자신 이외의 사람들을 순화시켜야 할 물질처럼 대상화시킨다. 이런 과정에서 검열이 탄생한다. 그리고 검열은 표현의 자유를 억압하는 것만이 아니라 자기 검열을 하게 만들어 개인의 정신을 파괴하는 단초가 된다. 정보의 폐쇄성에 기반을 둔 이런 문화적 파괴 방법은 권력을 탐하는 집단이나 개인들의 중요한 전략으로 활용되어왔다.
문화의 역사적 필연성을 과도하게 강조함으로써 초래되는 문화적 파괴의 과정이 지속되면 사물과 사건을 바라보는 인간의 정신은 마비되고 혼돈에 빠진다. 이런 전략은 정보가 제한되어 있을 때 더욱 효력을 발휘한다. 그러나 우리는 정보가 개방된 기술의 시대에 살고 있고, 우리 감성은 기술적 상상력을 통해 새로운 삶의 자유를 꿈꿀 수 있다. 가상적인 감각의 영역이 이성적 현실만큼이나 중요해진 시대에 우리 스스로 새로운 소통의 방식을 만들어내야 한다. 말하자면 설명하고 설득하는 것이 아니라 소통하고 참여하는 것이 중요해졌다. 이런 소통과 참여의 과정 속에 21세기 감수성이 자라나고 있다. 21세기 감수성은 가상과 현실의 경계를 넘나드는 융통성과 개방성을 그 특징으로 가지며, 그들의 시공간 안에서 새로운 세계를 창조할 수 있게 해준다. 정용도 미술비평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