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
올해는 대전 방문의 해를 준비하는 중요한 첫 발을 내딛는 해다. 비록 추경에서 문화 관련 사업들이 줄줄이 삭감 됐지만, 이를 지혜롭게 돌파할 수 있는 문화계 기관장들의 의지와 추진력이 절실해졌다. 이를 위해서는 기관장들의 교류와 융합적 콘텐츠 개발이 선행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힘차게 닻을 올린 대전 방문의 해는 여전히 밑그림 그리기 수준이다. 기대했던 추경이 삭감되면서 자칫 추진동력 상실로 이어질 수 있다는 위기설을 제기하기도 한다.
추경에서 대표적으로 삭감된 예산은 대전창의융합예술제(DCAF)다. 신청한 2억8000만원 전액을 받을 수 없게 됐다. DCAF는 올해 파일럿 형태로 진행되고 2020년부터 비엔날레 형식으로 2년마다 진행될 예정이었다. 대전의 대표성 축제로 첫 발을 내딛기 전부터 사실상 좌초 위기에 몰린 셈이다.
대전문화재단은 결국 아티언스 본예산인 4억 원으로 DCAF의 가능성과 지속성을 보여줘야 하는 부담감을 떠안게 됐다.
여기에 7030 공감 콘서트, 임시정부 100주년 기념 공연까지도 삭감돼 기획공연 준비에도 차질에 생겼다.
이제 믿어야 하는 것은 대전 문화계 기관장들의 능력이다.
대전시는 올해 초부터 대전시립미술관장을 시작으로 대전문화재단 문화예술본부장, 대전시립연정국악원 사무국장, 대전예술의전당 관장, 그리고 이응노미술관장까지 쉼 없는 인사를 단행해 왔다. 대전예총 또한 신임 회장 선출이 완료됐다.
이번 문화계 인사의 특징은 외부와 지역 출신이 고르게 분포됐다는 점이다. 물론 공정성 시비와 내정설로 몸살을 앓았지만 적임자로 그 자리에 오른 만큼 능력을 펼 수 있는 무대를 마련해줘야 하는 때다. 또 기관장들도 자신들을 둘러싼 오해를 불식시키기 위해서라도 대전을 위한 최선의 능력을 보여줘야 하는 명분이 생겼다.
문화계 관계자는 “이응노미술관장 인사까지 마무리 되면 문화계는 안정적인 운영에 들어갈 수 있다. 각 기관의 대표적 성격을 보여주되 대전 방문의 해를 위해 대전을 홍보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융합적으로 보여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기관장 한 사람의 능력도 중요하지만, 내외부 인사로 꾸려진 대전 문화계의 특징을 십분 활용해야 한다는 조언이다.
대전시는 향후 10년을 바라봐야 하는 주요 사업들이 곳곳에 산적해 있다. 앞서 언급한 DCAF는 물론이고, 대전 방문의 해 세부 콘텐츠, 그리고 문화도시 지정까지 넘어야 한다.
특히 문화도시 지정은 대전시의 숙원 사업이다. 대전문화재단을 주축으로 TF를 꾸려질 예정이다. 전국 축제 전문가들의 조언과 활약도 필요하지만, 대전 문화계 기관장들도 합심할 수 있는 밑바탕이 필요하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