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태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장 |
올 해의 주요 내용 중 첫 번째는 5세대 이동통신을 중심으로한 통신장비업체와 단말 업체들의 기술개발 상황과 상용화를 목전에 둔 각 국의 이동통신 서비스 업체들의 준비내용을 확인하는 것이었다. 세계 최초의 5세대 이동통신서비스 타이틀을 차지하기 위한 우리나라와 미국 업체간의 보이지않는 물밑경쟁이 치열하게 진행되는 가운데 SKT와 KT가 우리나라를 대표하여 5세대 이동통신을 이용한 VR, 서비스 로봇, 안전관제 및 자율주행 자동차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서비스를 선 보였다. 두 번째는 이동전화 단말기에서의 획기적인 변화를 볼 수 있었다. 지난 1월 라스베가스의 CES에서 중국업체인 Royole이 반으로 접히는 형태의 새로운 휴대형 전화기인 플렉스 파이(FlexPai)를 선보인 적이 있지만, 플렉스 파이는 직접 상용화로 이르기까지는 기술적인 한계가 많아보이는 제품이었다. 그러나 이번 MWC에서 전시된 삼성전자의 폴더블 전화기 갤럭시 폴드(Galaxy Fold)는 타업체 특히 화웨이의 접히는 전화기 메이트 X(Mate X)보다는 기술적 완성도가 높은 제품으로 올 상반기에 상용화가 기대되는 제품이다. 가격이 기존 단말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비싸기는 하지만 지난 2007년 아이폰을 시작으로 스마트폰이 일반대중에게 보편화된지 12년이 지난 지금 이동전화 단말기의 폼 팩터(Form Factor) 변화가 일반 소비자에게 어떤 새로운 밸류를 제공할지 그 귀추가 주목된다. 세 번째는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을 활용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뿐만이 아니라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이 결합된 MR(Mixed Reality)에 대한 서비스영역의 본격화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핵심 통신칩을 생산하고있는 미국의 퀄컴에서도 자체 AP(Application Processor) 스냅드래곤을 기반으로한 MR서비스를 소개하였고 특히 마이크로소프트는 홀로렌즈 2의 시연을 통해 한층 더 실감있는 MR서비스를 보여주고 있다. 네 번째는 CES와 마찬가지로 인공지능 플랫폼의 확장이다. 국내에서도 2016년 알파고의 등장으로 인공지능이 모든 국민들에까지 관심의 영역이 확장된것처럼, 지난 수년간 인공지능은 모든 산업분야에 기본적으로 적용되어 고객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의 질을 높여주며 인간의 삶을 보다 윤택하게 해주고 있다. 앞으로는 어떤 분야에서 어떤 일을 하든간에 인공지능테크닉을 얼마나 잘 활용하는가가 개인 및 조직의 성과와 성능의 향상으로 직결될 것이다. 다섯 번째는 스타트업의 약진이다. MWC에서도 스타트업을 위한 별도의 전시장을 운영하고 있다. 4YFN(4 Years From Now)으로 명명되는 전시행사는 2014년에 20개의 스타트업으로 출발하여 2019년 올 해는 600개가 넘는 기업이 전세계에서 참여하였다. 우리나라도 중앙정부와 산하기관을 중심으로 한국관을 운영하고 있고 특히 SK Telecom의 경우에는 소셜벤쳐만으로 특화된 6개의 기업으로 별도 부스를 운영하여 많은 관심을 받았다.
2019 MWC를 기점으로 5세대 이동통신의 생태계를 구성하는 통신사업자, 장비업체, 단말기 제조업체 그리고 서비스기획 및 제공업체들의 행보가 빨라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5세대 이동통신 투자의 주체인 통신사업자들의 고민은 더욱 깊어지는 시기이기도하다. 즉, 4세대 이동통신에서의 투자에 대한 충분한 회수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5세대 투자가 이루어져야하는 현실적인 어려움과 5세대서비스로서 고객에게 제공해야할 차별화된 서비스가 여전히 불투명하다는 것이다. 결국은 이번의 MWC에서도 확인되었듯이 기존의 대기업만으로는 혁신적인 서비스를 기대하기는 어려워보인다. 이동통신사업자를 포함한 대기업들이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의 진정한 가치를 인식하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가진 스타트업들과의 개방형 혁신생태계내에서 주도적 참여자로서 역할을 할 때만이 5세대 이동통신은 새로운 성장 모멘텀으로 기회의 창을 열어줄 것이다.
/임종태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