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최문정 교수 연구팀은 고령사회 헬스케어 기술 개발·사용과 관련해 사용자의 개인 건강정보 공유에 대한 통제권의 중요성을 입증했다.
헬스케어 기술 실용화에 걸림돌이 되는 개인 건강정보 공유에 대한 태도를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해 노인들이 누구에게, 어떤 유형의 정보를 공유하는 것에 대해 거부감을 갖는지 파악했다.
연구팀은 대전시가 편의 표집한 노인 17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통해 헬스케어 기술·연계 서비스를 이용할 때 개인 건강정보 공유 결정에 미치는 요인을 공유주체와 정보 유형에 따라 분석했다.
연구팀은 정보의 공유주체에 따라 노인의 의사 결정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10명 중 8명이 정부 기관과의 공유를 꺼리고, 그중 2명은 가족과의 정보 공유도 꺼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노인의 인구 사회학적 배경이 이와 같은 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수준이 높고 연령이 낮은 노인일수록 정보 유형을 불문하고 개인 건강정보 공유를 꺼리는 경향을 보였다. 여성은 남성에 비해 정부 기관과의 정부 공유를 원하지 않았다.
정보 유형에 따라서도 공유 의사에 변화가 있었다. 다양한 유형의 건강 관련 정보 중 경제 상황이나 가족병력을 공유하는 것에 민감한 경향을 보였다. 기술에 대해 긍정적 태도를 지닌 노인은 기술개발자·기업과의 정보 공유에 대체로 수용적이었다.
최문정 교수는 "개인 건강정보는 그 유형과 내용이 매우 다양하지만 현재 상용화된 헬스케어 기기·관련 서비스는 사용자에게 개인 건강정보 전체를 공유할지 말지에 대한 선택을 강제하는 경향이 있다”며 "특히 건강한 노년을 위한 예방적 차원의 공공보건 프로그램은 개인정보 수집을 최소화하며 시행해야 많은 노인이 참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