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의 염색과정을 살펴보자. 머리카락에 염색약을 바르고 충분히 흡수될 때까지 몇 시간을 기다린다. 염색을 원하는 시민 대부분은 곳곳에 자라기 시작한 흰머리를 갈색이나 검은색으로 만들고 싶지 오렌지색 머리는 바라지 않는다. 짙은 발색에는 인디고 계열 재료도 필요하다. 바쁜 현대인은 '빨리 짙은 색으로 염색되는 저렴한 천연제품'이라면 기꺼이 지갑을 열리라. 자본주의 사회에서 이 모든 요구를 충족시키는 업체는 곧 등장했고, 소비자들은 빠른 시간에 염색을 마치고 만족스럽게 귀가했다. 하지만 만족은 한순간. 한국소비자원 보고에 따르면 무려 사용자의 반 이상이 피부 색소침착 부작용으로 고통받고 있으며, 특히 중년 여성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왜 수천 년간 이용되던 헤나가 갑자기 문제를 일으키는 걸까? 주범은 헤나가 아닐 것이다. 아무리 양보해도 헤나 단독범은 아니다. 짙고 빠른 발색을 위해 함께 섞었을 다른 염색제, 무엇보다도 합성 착색제, 그리고 그들 간의 화학작용이 문제를 일으켰으리라.
용의 물질로 지목되는 공업용 착색제 파라페닐렌디아민(PPD)은 접촉성 피부염이나 가려움증의 부작용을 자주 일으키는 성분이다. PPD는 산화형 염모제에 한해서, 최대 2%까지만 첨가할 수 있다. 과연 이 수치는 지켜지고 있는가? 염색약에 피부가 노출되는 시간은 어떠한가? 또한 사람마다 모발과 피부가 다르므로 염색 전에 반드시 피부에 시험해 봐야 한다. 팔 안쪽이나 귀 뒤쪽에 염색제를 바르고 이틀간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는지 살핀다. 이를 패치테스트라 한다. 만일 이때 발진, 발적, 가려움, 수포, 자극 등 이상이 있으면 바로 씻어내고 염색은 포기해야 한다.? 문신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오직 이윤만을 추구한 업체는 테스트를 생략하고 상품만 팔아치우기 바빴다. 2019년 1월 29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헤나 등이 들어간 염모제를 사용할 때는 패치테스트로 안전성을 확인하고 정해진 사용시간을 준수해야 한다는 내용의 소비자 안내문을 배포했다. 헤나 사건을 스피노자 식으로 표현하자면, 빨리 많은 이윤을 추구하는 자본의 심리와 시험 없이 사용된 합성 화학품의 '나쁜 만남'이 피부착색 사태를 불러일으킨 것이다. 헤나는 죄가 없다. '천연 헤나'라는 이름 뒤에 숨은 자들이 유죄다.
피해자가 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일단 전체성분이 표시되어 있지 않은 염색제는 구매하지 말고, 패치테스트는 염색이나 문신 때마다 매번 다시 하자. 상품표지의 '천연 헤나'라는 굵은 글씨는 결코 '100% 천연'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게다가 천연에 자연산이 무조건 몸에 좋은 것만도 아니다. 비록 청정해역의 물고기나 심심산골의 산채일지라도, 그것이 복어나 독버섯이라면 사람을 죽일 수도 있지 않나. '천연'과 '자연산'이라는 단어에 현혹되어 지갑을 열기 전에 한 번만 다시 생각해보자. 알아야 살아남는다. 현대인이 끊임없이 공부해야 하는 이유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