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 금요일, 장을 보고 내친 김에 잔치국수를 먹으러 그 식당으로 갔다. 간판이 그냥 '백반분식'이었다. 주방만 건물에 딸려 있고 세차장에 임시 천막을 치고 플라스틱 탁자와 간이 의자를 놓은 게 다였다. 아주머니는 잔치국수 만들고 딸은 부침개를 팔았다. 한참만에 잔치국수가 나왔는데 예사롭지 않았다. 고명이 푸짐했다. 계란 지단, 김치, 호박, 시금치, 김이 먹음직스럽게 국수 위에 얹어 있었다. 국물을 맛봤다. 진하고 깊은 맛이 났다. 삭힌 고추와 함께 후루룩 뚝딱 해치웠다. 여느 국수집에서 먹던 맛과는 달랐다. 시끌벅적한 장터에서 먹으니까 옛날 시골 장에 온 기분도 났다. 주인 아주머니는 눈코뜰새 없이 바빴다. 길가에 앉아 물건 파는 장꾼들한테 쟁반에 국수를 나르느라 정신이 없었다. 한가해진 틈을 타 육수 만들 때 뭘 넣느냐고 물었다. 무, 새우, 북어, 고추, 마늘, 생강, 멸치, 다시마를 넣는다고 했다. 다시마는 남해 바다 섬에 사는 아는 언니한테서 공수해 오는 것이란다. 이렇게 많은 재료를 써도 손해 안 보니까 파는 거겠지?
잔치국수는 뭐니뭐니해도 잔칫날 먹는 게 최고다. 어릴 적 동네 잔칫집에서 먹었던 국수 맛은 잊을 수 없다. 배가 고팠던 시절이고 추억이라 더 맛있게 기억할 수도 있겠지만 냉정하게 따져봐도 훌륭한 맛이었다. 그 시절 잔치는 동네 사람들이 배에 기름 좀 끼는 날이다. 돈깨나 있어 동네서 행세하는 집은 며칠에 걸쳐 잔치를 벌인다. 세를 과시하는 것이다. 동네 사람들도 잔칫집에 가서 팔을 걷어붙이고 돕는다. 그땐 내 일 네 일 구분 않고 큰 일이 있으면 협동하는 시대였다. 아낙들은 음식을 만들고 남정네들은 코가 삐뚤어지게 술을 마시고 흥청거린다. 그러다가 시비가 붙어 싸움판이 벌어지기도 한다. 하여간 맛있는 음식들이 방마다, 마당에 상다리 부러지게 차려지는 터라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배불리 먹는 날이다.
국수 육수는 큰 가마솥에 닭을 몇 마리 넣고 푹 끓인다. 거기다 다른 것도 넣었을 것이다. 가마솥 닭 육수는 물을 부어가며 하루종일 장작불로 끓인다. 손님이 계속 오니까 국수를 계속 끓여내야 한다. 푹 익은 닭은 살코기를 발라내고 뼈는 솥에 다시 들어간다. 그 닭 육수로 만든 국수가 정말 기가 막히다. 충청도식인지는 모르지만 잔치국수에는 떡국떡도 들어간다. 고명은 종이처럼 얇게 부친 계란 지단과 실처럼 가늘게 채 썬 홍고추가 전부다. 지금도 생생하다. 국물 맛이 집에서 키운 닭 육수라 구수하면서 담백한 그 맛! 달디 단 국물을 코를 훌쩍이며 그릇 째 들고 마셨던 유년의 잔칫날이 새삼 생각난다. 지금은 바쁜 세상이고 또 세월따라 사람 사는 방식이 변해가는 게 자연스럽다는 걸 안다. 때때로 옛 맛이 그리운 건 나이를 먹은 탓일까. <미디어부 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