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음사 제공 |
이졸데 카림 지음│이승희 옮김│민음사
'이민자들은 축구 경기 때 어느 편을 응원하느냐는 질문을 자주 받는다. 이를 통해 통합의 정도를 측정하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질문은 지금의 변화를 완전히 잘못 이해하고 있다. 터키계 이민자가 독일을 응원한다고 해서 그가 완전한 독일 정체성을 가졌다고 할 수 없다. 그리고 그가 터키를 응원한다고 해서 완전한 터키인이 되는 것도 아니다. 민족 정체성은 다원화되었다. 시민들은 이제 완전하지 않은 정체성을 가지게 되었다. 여기에서 감정은 지표가 아니다. 완전하지 않다는 것이 냉담해졌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혼성화나 독일계?터키인처럼 이음표로 연결하는 정체성도 아니다. 다원화를 통한 변화는 훨씬 더 나아간다. 왜냐하면 이 변화는 혼합되는 사람에게만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 2장 지금: 다원화가 모든 것을 바꾼다 중에서
트럼프를 당선시킨 미국, 마크롱을 둘러싸고 격렬하게 충돌하는 프랑스, '브렉시트'로 혼선을 빚고 있는 영국 등. '진정한' 정치의 실현을 위해서 '새로운' 정치 현상을 분석하는 시도가 도처에서 이뤄지고 있다. 민주주의의 붕괴에 대해 준엄히 경고하는 자유주의 정치사상가들, '지성'의 반대편에 '반지성'을 설정하는 정치평론가들부터 '좌파 포퓰리즘'(샹탈 무페)이라는 대안을 제시하는 좌파까지.
그 모든 분석에서 공통적인 지적은 정치가 예전같이 작동하지 않으며, 대중이 기대대로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전 지구적 세계화로부터 소외된 자들의 귀환이라는 도식 속에서 '포퓰리즘'은 비이성과 연결되고, '난민 혐오'는 극복해야 할 부정적 감정이 된다. 그리고 이 모든 도식은 결국 계몽이나 각성이라는 공허한 구호를 남긴다. 오스트리아 철학자 이졸데 카림에 따르면, 이것은 아직도 중요한 논점을 이해하지 못했다는 뜻이다. "이론적으로도 틀렸고 전략적으로도 멍청하다. 무엇이 더 나쁜지도 모르겠지만"
이졸데 카림은 2018년 '미래의 책' 10선에 선정된 『나와 타자들: 우리는 어떻게 타자를 혐오하면서 변화를 거부하는가』에서 '타자'와 '변화'를 축으로 새로운 논의를 전개한다. 현재의 변화를 제대로 진단하기 위해서는 바로 이전의 과거와 비교해야 한다. '상상된 공동체'인 민족 국가의 형성에서 시작하는 것이다. 베네딕트 앤더슨의 이 유명한 개념에서 방점은 '상상'에 있다. 민족이라는 공동체는 '상상'이었다. 그런데 이 말은 민족이 단지 허상이라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민족은 허구의 개념인데도 우리를 현실적으로 규정하는 강력한 힘을 가진다. 개인들은 그냥 여성이기보다 한국 여성이고, 독일 남성이거나 팔레스타인 남성인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강력한 민족 규정은 불과 지난 20~30년 사이에 침식되었다. 민주주의적 국민국가에 동질성을 제공한 민족이 침식되면서, 동질 사회가 천천히 사라졌다. 즉 다원화 사회가 된 것이다. 이것이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이뤄진 변화의 본질이다.
『나와 타자들』은 정체성을 둘러싼 변화 과정을 따라가면서 개인주의의 층위를 역사적으로 구분하고 타자 혐오라는 현상의 배경인 다원화 과정을 추적한다. 그를 토대로 오늘날 주체와 정치적 욕망에 대한 극히 날카로운 분석을 전개한다. 초등학교 교실에서 '다문화'가 욕으로 쓰이며, '여성 혐오'를 둘러싼 분쟁이 지속되는 한국 사회에 때맞춰 도착한 예리하고 지적인 정치철학 에세이다.
박새롬 기자 onoino@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