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하루가 빠르게 변화하는 삶 속에 적응하려니 혼란스럽기 그지없다. 나만 퇴보되는 것 같고 현실에서 멀어지는 것 같아서 무기력해지고 우울해지기도 한다.
2019년 3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업무계획에 따르면 올해를 '사람중심의 4차 산업혁명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사람중심의 D.N.A(Data, Network, AI)역량을 강화하고. 남성, 여성의 차이를 논하기보다는 남녀구별 없이 역량을 갖춘 인재들을 사회경제활동에 활발하게 활용한다는 이야기다. 그렇다면 현재와 미래사회의 핵심인재는 어떤 역량이 필요할까? 또 남성과 여성의 뇌 연결망은 같을까 다를까?
경인교육대학교 이재호 교수는 미래 지능정보사회의 핵심인재는 기업가 정신을 중심으로 컴퓨팅 사고력을 갖추고 메이킹 역량으로 창의적 발상을 할 수 있는 '융합·통섭형 인재'라고 정의하였다. 컴퓨팅 사고력은 복잡한 문제를 효율적으로 다루고 해결하는 사고능력을 말하는 것으로 컴퓨터가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처럼 복잡한 문제를 단순화하고 이를 논리적, 효율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말한다. 또한 '융합·통섭'이란 '서로 다른 것을 한데 묶어 새로운 것을 만든다'는 뜻을 의미한다. 과거 인재는 '인지적 능력'을 중요시했다면 현재 인재는 '비인지적 역량' 즉 지적 능력 외에 잠재되어있는 '인성','감성' 등을 중요시하고 사회적인 관계 속에서 타인을 배려하고 사회적 기여 등도 중요한 요소로 꼽아, 이런 인재를 사회적 인재라고 정의하기 시작했다.
구글의 경우 인재상을 '구글다움'(Googleyness)으로 정의했다. '남들이 재미없어 하는 걸 즐기고 자신이 틀릴 수도 있다는 걸 인정하는 지적 겸손', '주인의식', '개방적인 자세', '과감하게 실행하는 용기', '다양성과 융합할 수 있는 능력', '문제를 발견하고 분석하는 능력' 등의 개념으로 정의했다.
'나는 무엇을 좋아하는가, 나는 무엇을 하고 싶은가' 즉 하고자 하는 일의 성취동기와 욕구를 기반으로 진로를 선택하고 전문적인 소양을 쌓아가는 것이 중요하겠다. 나의 현주소는 어떠한가를 점검하고 내면의 깊은 곳에서 나오는 욕구가 무엇인지를 알아차리고 실행에 옮길 수 있는 힘을 갖춰야 발전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요즘 우리 사회에 뜨겁게 달궈진 이슈가 Mee Too 운동이었다. 남성, 여성에 대한 성 평등성에 대해 물음표를 던진 것이다. 인류의 변천사에서 남성과 여성은 필수불가결한 관계이다. 서로 조화로운 관계에서 화목하고 행복을 추구하며 생계를 유지해왔다. 그러면 남성·여성의 뇌 연결망은 같을까 다를까?
미국 필라델피아대학교 의과대 라지니 버마(Ragini Verma) 교수가 이끈 연구팀의 최근 뇌 연구에 따르면 남녀의 뇌 연결망 구조에서 차이를 발견했다(출처/Ragini Vem a, PNAS). 남성의 뇌는 '뇌 반구 내부 연결이 강화'되어 감각인지와 통합행동 연결망이 활성화 되어 있고, 여성의 뇌는 '좌우 뇌 반구 연결이 강화'되어 분석과 직관 및 사회적 인지가 높았다. 남성은 대뇌피질에선 앞 뒤쪽의 연결 즉 전두엽, 두정엽, 후두엽의 연결회로가 발전되어 있고, 여성은 대뇌안쪽에서 좌우 뇌 반구 간의 연결이 두드러졌다. 이는 좌우뇌를 연결하는 뇌량이 발달한 것이다. 남성은 관찰하고 사고하고 판단하고 빠른 결정과 행동을 통해 사냥을 하여 생명을 유지하기 적합한 뇌로, 여성은 좌우측의 뇌를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직관력을 활용하여 공감과 소통을 통해 양육과 주변과의 관계성을 높여서 공동체 생활을 잘할 수 있도록 발전한 것이다. 연구팀은 "남녀의 뇌는 놀라울 정도로 상호보완적"이라고 말했다.
현대사회는 인공지능의 발달, IoT 초연결화, 빅데이터 등등으로 점점 인간이 육체적으로 힘쓰는 일은 줄어들고 있다. 이러한 과학시대에 잘 적응할 수 있는 뇌 연결망은 '감각인지와 통합 행동에 효율적인 대뇌반구, 내부의 연결구조가 발달한 남성 뇌'와 '분석, 직관 및 사회적 인지에 효율적인 좌우 뇌 반구 간의 연결이 발달한 여성 뇌'를 상호보완 할 수 있을 때 최적화된 상태가 될 것이다. 이처럼 서로 다름을 인정하여 남성과 여성이 상호보완하고 개개인이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려고 노력할 때 현재와 미래의 역량 있는 인재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지 않을까 생각한다. 또한 뿌리 깊은 관념 속에 녹아있는 성정체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양성평등적 발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방원합도(方圓合道) 너무 모나지 않고 너무 둥글지 않는 道의 이치에 맞게 양성을 합할 수 있는 것이 진정한 평등이며 행복한 삶의 원천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박희래 맘브레인&IBC통합뇌센터 원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