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는 타당성의 세계를 구축합니다. 피고인 오미란, 살해당한 김은택 노인, 그의 아들인 회계사, 지우와 친구 신애, 그리고 순호와 그의 아버지까지. 저마다의 상황이 있고, 그것을 지탱하는 이유와 근거가 존재합니다. 그러므로 선과 악의 분명한 대립을 볼 수 없습니다. 각각의 타당성이 스스로를 옹호하는 가운데 갈등은 깊어가고, 진실은 잘 드러나지 않습니다.
순호는 민주화를 위한 변호사협회 출신으로 거대 로펌에서 에이스로 키우려는 실력 있는 변호사입니다. 병들고 빚이 많은 아버지를 부양합니다. 그래서 돈이 필요합니다. 그는 세속적 타락과 인간적 진실 사이에서 갈등하고 방황합니다. 이것이 고스란히 재판으로 이어집니다. 1심에서 그는 증인인 자폐소녀 지우를 정신병으로 몰아 무죄판결을 끌어냅니다. 그러나 2심에서 똑같은 증인의 놀라운 청력을 근거로 1심을 뒤집습니다. 두 경우 다 타당성을 지닙니다. 같은 책에서 인용한 자폐장애에 대한 전문지식이 1심과 2심 모두에 핵심적인 근거로 작용합니다. 지식의 아이러니라 할 만합니다.
영화는 또한 이미지의 모순을 보게 합니다. 지우가 순호에게 말합니다. "신애는 웃는 얼굴인데 나를 괴롭혀요. 엄마는 화난 얼굴인데 나를 사랑해요. 아저씨는 나를 웃는 얼굴로 대해요. 아저씨는 어떤 사람인가요?" 어쩌면 이것이 영화의 핵심적인 질문일지 모릅니다. 세상을 떠받치는 타당성과 합리성이 모순을 드러낼 때 진실은 어떻게 규명되는가? 영화는 마지막에 이르러 2심 재판에 다시 증인으로 출석하는 지우의 발걸음을 보여줍니다. 첫 장면의 순호를 보여주던 바로 그 숏입니다. 진실을 말하기 위한 용기의 표현입니다.
영화는 미덕과 함께 뚜렷한 한계를 지닙니다. 가장 중요한 메시지들이 모두 인물의 대사를 통해 전달됩니다. 영화적 장치, 표현, 이미지가 보이지 않습니다. 관객에 대한 미심쩍음과 주제 전달에 대한 강박에서 비롯된 듯합니다. 그럼에도 정우성과 김향기의 연기는 빛이 납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