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천식의 이슈토론이 19일 오전 10시 중도일보 스튜디오에서 '아파트공동체 문화 이대로 좋은가'라는 주재로 진행됐다. (좌측부터)김겸훈 이재민사랑본부 공동대표, 김준열 대전시 주택정책과장, 신천식 박사, 장창수 대전세종연구원 책임연구원, 김복수 대전시 아파트 입주자회의 회장 |
아파트 내 층간소음으로 인해 미래세대인 아이들에게 뛰어놀 기회를 박탈해야 하는 현실을 안타까워하며, 무조건 놀지 못하게 할 일이 아니라 대안이 될 만한 공간을 마련해줘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김겸훈 박사(이재민 사랑본부 공동대표)는 19일 오전 10시 중도일보 스튜디오에서 열린 '신천식의 이슈토론'에서 "층간소음이든 흡연연기 등으로 인한 갈등에 대해 결과만 놓고 보면 주민들의 문제로 볼 수 있겠지만, 서로의 잘잘못을 따지기 이전에 근본적인 면부터 개선하려는 의지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토론은 '아파트 공동체문화 이대로 좋은가'라는 주제로 김준열 대전시 주택정책과장, 장창수 대전세종연구원 책임연구원, 김겸훈 이재민사랑본부 공동대표, 김복수 대전시 아파트 입주자회의 회장이 참석해 진행됐다.
참석자들은 현대인들 대부분의 주거형태인 아파트의 바람직한 공동체문화 조성에 대해 논의했다. 대전의 아파트 주거의 실상에 대해 김준열 과장은 "대전시 주택보급률은 101.2%, 이 중 아파트 거주인구는 72%나 된다"며 "아파트의 편리성과 익명성 등의 개인보호 기능과 더불어 특히 재산증식의 수단으로 발전되면서 향후 아파트 거주인구는 늘어날 전망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장창수 연구원은 "주택의 편리성 측면에서 아파트가 매력적인 주거형태로 각인됐다"며 "재산증식에 따른 투기의 수단으로 발전돼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했고, 대형평수를 선호했던 과거와 달리 도시화와 핵가족화가 확대되면서 소형평수 아파트를 선호하는 추세다"라고 덧붙였다.
아파트가 익명성과 편리성이 보장된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이웃과의 소통이 단절되면서 불거지는 오해와 갈등으로 마을 공동체문화가 사라지고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김복수 회장은 "아파트 이웃과의 교류가 단절되면서 층간소음, 애완견, 주차문제 등이 사회문제로 확대되고 있다"며 "갈등중재위원회의 경우 강제성이 없다보니 제대로 활용되지 못 하는 게 현실이다"라며 아쉬워 했다. 이에 김겸훈 대표는 "아파트 입주민 소통 부재에 있어서 입주자 대표회의의 운영이 투명하고 공정하다는 생각이 들지 않는 이유가 있을 것이다"라며 "이는 대전시나 지자체의 문제가 아닌 공동주거단지 자체 내의 갈등요소가 없도록 공공성을 부각해 운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아파트가 마을공동체로서 사회와 소통하려면 패쇄되고 고립감 있는 현실에서 탈피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김겸훈 대표는 "쪼개져 있는 주민들의 마음을 묶는 과정에 있어서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 것이다"라며 "아파트를 지을 때부터 공동공간을 확대하고 기존의 아파트는 문화행사를 활용해 단지와 단지의 연대 등 활성화를 모색해야 한다"고 피력했다. 이어 김복수 회장은 "주민들간의 도덕적인 부분들은 하나씩 끄집어 내어 융합해 상생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준열 과장은 "물리적인 환경조성과 더불어 문화강좌나 이웃간의 정을 쌓을 수 있는 프로램을 개발해야 한다"며 "대전시에서 매년 3군데 모범아파트 관리단지를 선정해 이를 홍보하고, 시 예산을 적극 활용해 행복하고 살고 싶은 마을공동체 조성을 위해 노력하겠다"며 의지를 밝혔다.
한세화 기자 kcjhsh9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