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내가 먹는 것이 나를 증명한다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내가 먹는 것이 나를 증명한다

  • 승인 2019-03-14 08:34
  • 신문게재 2019-03-14 22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냉이국
스무 날 가까이 미세먼지 속에서 살았다. 독성이 가득한 부유하는 안개의 도시에 갇혀 생존의 문제로 고통에 몸부림쳤다. 산다는 것은 행복인가, 불행인가. 문명의 이기에 익숙한 인간의 딜레마는 계속될 것이다. 앞으로 나아갈 뿐, 멈추지도 않고 더구나 뒤를 돌아보는 건 어리석다고 여길 테니까 말이다. 부안 내소사 전나무 숲길을 걸으며 먼지에 찌든 폐부 깊숙이 청량한 공기를 가득 채웠다. 신선한 전나무 향이 머리를 맑게 했다. 단단하게 다져진 흙길과 길 가에 쭉쭉 뻗은 키 큰 전나무들이 그렇게 정답게 느껴질 수가 없다. 나무를 보면, 나무에 가까이 있으면 위안을 받는다. 전나무 기둥을 손으로 만져 보았다. 거친 나무 껍질이 생명력 있는 자연에서 느끼는 삶의 에너지를 준다. 이 나무들은 몇 살일까. 수령이 꽤 됨직한데 그 푸르름은 늙지 않는다. 나도 저 나무들처럼 늙어가면 얼마나 좋을까.

내소사의 백미는 대웅보전이다. 단청을 입히지 않은 아담한 자태 속에 들어가보면 뜻밖의 선물을 만난다. 꽃살문의 화려한 문양에 저절로 입이 벌어진다. 실루엣의 극치라고나 할까. 연꽃, 국화가 새겨진 문살이 어찌나 섬세한 지, 사진으로 본 인도 불교 조각품을 대하는 듯하다. 400년 전 이 나무에 하나하나 꽃을 조각한 장인은 무슨 생각을 했을까. 고행하는 싯타르타가 보리수 나무 아래서 깨달음을 얻는 것처럼 불심으로 정진했을까. 기나긴 세월에, 바람결에 닳은 꽃살문은 그래서 더욱 아름답다. 꽃살문을 어루만지며 오래 전 장인의 손길을 더듬어본다. 그 옛날에 나무에 꽃을 새기던 장인의 거칠고 투박한 손과 맞닿는 환상에 사로잡힌다. 모처럼만에 맑은 공기와 봄 햇살에 맘껏 몸을 맡겼다. 대웅보전 주춧돌에 걸터앉아 한참동안 봄볕의 나른함에 취했다. 시간이 멈춘 듯, 다만 아이들의 티없는 웃음소리가 현실의 나를 일깨웠다. "아, 따시다." 노구를 이끌고 법당을 둘러보던 한 노인이 햇살 아래로 나오며 말했다. 꽃말이 '영원불멸의 사랑'이라는 산수유꽃도 피었다. 붓다의 자비는 영원할까.

일주일 전 위장에 탈이 나서 며칠 앓아서인지 자리에서 일어날 때 현기증이 났다. 미세먼지, 한파가 번갈아 오는 바람에 지난 겨울 통 운동을 못했었다. 겨우내 1kg 찐 살이 아프면서 도로 빠져버렸다. 밥을 먹어야 어깨가 펴질 것 같았다. 내소사 일주문에서 나오자 음식냄새가 진동해 코를 벌름거렸다. 입으로야 파전에 막걸리 한잔 쭈욱 들이켜고 싶지만 산채비빔밥을 먹기로 했다. 고사리, 버섯, 콩나물, 시금치 등 온갖 나물과 계란 프라이가 얹힌 대접에 밥 한 공기를 통째로 넣어 비볐다. 그리고 배추 된장국을 한 술 떠먹었다. 아! 구수한 된장냄새. 요번에 체하고 배탈난 날 저녁에 아무 것도 먹을 수 없을 때 멸치·표고버섯가루와 대파만 넣은 맑은 된장국을 끓여 마셨다. 그리고 이틀동안 된장으로 끓인 시금치죽으로 속을 다스렸다.

된장으로 만든 음식은 다 좋다. 일단 속이 편하다. 김치찌개보다 된장찌개가 맛있고, 여름날 엄마가 해 주던 된장 수제비는 잊을 수 없다. 앞뜰에 심은 호박잎과 애호박을 손으로 뜯어넣고 청양고추 쫑쫑 썰어 넣은 된장 수제비는 엄마의 별미였다. 달착지근한 일본 미소된장보다 깊은 맛이 나는 우리 된장이 내 입맛에 맞는다. 비빔밥을 먹으면서 배추된장국을 한 그릇 더 달라고 해서 먹었다. 주인 아주머니에게 된장국이 맛있다며 직접 담그냐고 물으니까 "네"하고 휑 가버렸다. 순간 머쓱했다. 혹시 식품회사에서 파는 된장에 마법의 조미료를 넣었나? 아니면 말린 바퀴벌레를 갈아서 넣었을 지도…. 그날 저녁 집에 와서 냉이된장국과 달래무침을 해 먹었다. 봄의 향기였다. 지금 산과 들에 쑥이 돋아났을텐데 쑥된장국도 빠질 수 없다. 언제 아팠냐는 듯 다시 식욕이 동한다.<미디어부 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기고]대한민국 지방 혁신 '대전충남특별시'
  2. 금강환경청, 자연 복원 현장서 생태체험 참여자 모집
  3. "방심하면 다쳐" 봄철부터 산악사고 증가… 대전서 5년간 구조건수만 829건
  4. [썰] 군기 잡는 박정현 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
  5. 기후정책 질의에 1명만 답…대전 4·2 보궐선거 후보 2명은 '무심'
  1. 보은지역 보도연맹 희생자 유족에 국가배상 판결 나와
  2. 안전성평가연구소 '국가독성과학연구소'로 새출발… 기관 정체성·비전 재정립
  3. 지명실 여사, 충남대에 3억원 장학금 기부 약속
  4. 재밌고 친근하게 대전교육 소식 알린다… 홍보지원단 '홍당무' 발대
  5. '선배 교사의 노하우 전수' 대전초등수석교사회 인턴교사 역량강화 연수

헤드라인 뉴스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12·3 비상계엄 이후 탄핵정국에서 펼쳐지는 첫 선거인 4·2 재·보궐 선거 날이 밝았다. 충청에선 충남 아산시장과 충남(당진2)·대전(유성2) 광역의원을 뽑아 '미니 지선'으로 불리는 가운데 탄핵정국 속 지역민들의 바닥민심이 어떻게 표출될지 관심을 모은다. 이번 재·보궐에는 충남 아산시장을 포함해 기초단체장 5명, 충남·대전 등 광역의원 8명, 기초의원 9명, 교육감(부산) 1명 등 23명을 선출한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을 놓고 여야 간 진영 대결이 극심해지면서 이번 재·보궐 선거전은 탄핵 이슈가 주를 이뤘다. 재·보궐을 앞..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결정과 관련, 헌법재판관들의 의견이 ‘전원일치’이면 이유의 요지를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을 낭독한다. 헌법재판소의 실무지침서인 ‘헌법재판 실무제요’ 명시된 선고 절차다. 재판관들의 의견이 엇갈리면 주문 먼저 읽은 후에 다수와 소수 의견을 설명하는 게 관례지만, 선고 순서는 전적으로 재판부의 재량에 달려있어 바뀔 수 있다. 선고 기일을 4일로 지정하면서 평결 내용의 보안을 위해 선고 전날인 3일 오후 또는 선고 당일 최종 평결, 즉 주문을 확정할 가능성이 크다. 평결은 주심인 정형식 재판관이 의견을..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제4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을 추진하는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이하 소호은행)이 1일 기자회견을 열고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했다. 전국 최초의 소상공인 전문은행 역할을 지향하는 소호은행은 향후 대전에 본사를 둔 채 충청권 지방은행의 역할을 일부 수행하며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소호은행은 이날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소상공인 맞춤형 금융서비스 계획을 발표했다. 컨소시엄을 이끄는 김동호 한국신용데이터(KCD) 대표는 "대한민국 사업장의 절반 이상이 소상공인, 대한민국 경제 활동 인구의 4분의 1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 3색의 봄 3색의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