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의 현재 곡물자급률(사료용 곡물포함)은 24% 수준이다. 보릿고개가 있었던 1960년대 곡물자급률 약 90%가 어떻게 20%대로 뚝 떨어진 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소득이 증가하면 육류소비가 급격히 늘어나고 농지가 산업화, 도시화로 훼손된다.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1kg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사료용 곡물이 각각 7kg, 4kg, 3kg이 필요하다. 1970년 남한의 약 230만 ha 농지가 산업단지와 택지 조성, 도로건설 등으로 훼손되어 지금은 약 162만 ha 수준이다. 북한도 소득이 증가하고 산업화가 진전되면 육류소비가 늘어날 것이고 농지도 훼손될 것이다. 2018년 북한의 곡물생산량은 쌀 220만 톤을 포함하여 455만 톤 수준이다. 남한은 쌀 380만 톤을 포함해 약 500만 톤이다. 우리는 부족한 곡물 1500만 톤을 수입할 수 있지만, 북한은 외화부족으로 부족한 식량을 수입할 수 없는 실정이다.
구황작물로 여겨온 고구마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한반도 식량안보 구축에 대안이 될 수 있다. ①고구마는 전분 작물 가운데 단위면적당 전분을 가장 많이 생산한다. 단위 면적당 부양능력(탄수화물생산)에서 옥수수가 1명일 때, 밀 1.6명, 벼 2.5명, 감자 3.4명에 비해 고구마는 3.9명으로 가장 높다. ②건조지역 등 척박한 토양에도 비교적 잘 자라며 가뭄, 홍수, 태풍 등 자연재해에도 강하며, 피복작물로서 장마철 토양유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③화학농약과 화학비료가 비교적 적게 요구되는 친환경 작물이다. ④고구마는 비타민C 등 항산화 물질, 식이섬유, 칼륨 등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노화방지, 질병, 변비, 당뇨 조절 등의 효능으로 최고의 건강식품으로 평가되고 있다. 지상부도 기능성 채소와 사료로 이용된다. ⑤고구마는 서리가 내리지 않는 기간이 4개월 이상이면 고위도 지역일수록 병충해가 적고 수확량이 높아 적정 품종과 재배기술을 활용하면 남한보다는 북한지역이 수확량이 많을 수 있다. ⑥북한의 벌거벗은 임야에 조림할 때도 나무 사이에 고구마를 심으면 토양유실도 최소화하고 식량과 사료를 확보할 수 있다.
식량이 부족한 1960년대 남한의 고구마 생산량은 약 300만 톤으로 쌀 생산량과 비슷했으나, 소득이 증가하면서 고구마 소비가 감소해 현재 남한의 고구마 생산량은 약 30만 톤으로 크게 줄었다. 흥미롭게도 25년 전 같은 면적에 벼농사 재배농가는 고구마 재배농가에 비해 소득이 약 4배 많았으나, 현재는 고구마 재배농가가 벼 재배농가보다 반대로 소득이 4배 많다. 고구마는 소비자가 선호하는 최고의 건강식품으로 인정되었기에 같은 무게의 쌀과 감자보다 2배 이상 비싼 부자들의 식품이 되었다.
자존심이 강한 북한 지도자는 선진국에서 주식으로 하는 전분 작물인 옥수수, 감자를 식량자원으로 선정해 식량난을 해결하려고 했으나 실패했다. 임야면적이 약 80%인 북한의 제반 사정을 고려할 때 고구마가 수확량과 영양적 측면에서 북한 식량의 대안이 될 수 있다. 필자는 노무현 정부 시절 남북과기협력 차원에서 고구마 협력을 위해 북한을 2차례 방문했다. 2012년 한중일고구마연구협의회를 설립해 중국과 높은 수준의 고구마 협력을 하고 있다. 중국은 세계 고구마생산의 약 70%를 차지하고 고구마 유전자원이 풍부하다. 필자와 오랫동안 협력하고 있는 중국농업과학원 고구마연구소도 북한 고구마 협력사업에 적극 참여하겠다고 필자와 약속한 상태다.
세계적인 현물투자가 짐 로저스는 오토바이와 승용차로 2차례나 전 세계를 여행하면서 식량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21세기는 농업이 신산업이라 강조했다. 그는 남북통일이 되면 전 재산을 북한에 투자하겠다며 남북협력을 기대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고구마는 21세기 인류가 당면한 식량문제를 해결하면서 고령화 대응 영양식품으로서 한반도 식량안보 구축에 기여할 것을 확신하며 고구마 남북협력이 기대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