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그것만이 내 세상' 중 한 장면. |
건강상 요양을 핑계로 '엄마' 역할을 단기파업하고 찾아간 친정언니 집에서 TV로 우연히 보게 된 영화였다.
극 중 형인 '조하'는 어린 시절 술에 취해 가정폭력을 일삼는 아버지 때문에 어머니가 집을 나가면서 험한 세상에 홀로 내던져졌다. 중학생 때부터 만화방을 전전하며 숙식을 떼우던 그는 동양 챔피언에 오르며 유망 복싱선수로 '쨍하고 해 뜰 날'이 온 듯 했으나 한순간의 실수로 다시 길거리를 전전하는 밑바닥 인생으로 전락한다. 이후 도장의 스파링 상대와 전단지를 돌리는 일을 하며 만화방에서 쪽잠을 자는 생활을 하던 중 우연히 어릴 적 집 나갔던 엄마와 재회하고, 숙식 해결을 위해 그녀를 따라간 집에서 전혀 알지 못했던 배다른 동생이자 자폐증을 앓는 동생과 함께 지내게 된다.
자장라면을 좋아하고 게임을 아주 잘하지만 무엇보다도 피아노에 천재적인 재능을 보이는 서번트증후군을 앓는 동생 '진태'. 서번트증후군은 특정 분야에서 일반인들이 따라갈 수 었는 두뇌의 천재적인 능력을 가지게 되는 자폐 증상 중 하나다. 좌뇌가 손상되거나 좌뇌와 우뇌의 연결이 끊어져 우뇌가 스스로의 보상 작용으로 보통의 인간으로는 지질 수 었는 뛰어난 뇌 능력을 지니게 되는 것이다. 영화 '레인맨'에서 컴퓨터를 능가하는 계산능력과 암기력을 지녔던 더스틴 호프만이, 드라마 '굿닥터'에서 천재 소아외과 의사인 주원이 같은 케이스다.
입만 열면 "네~"라는 대답만 하고, 밤에는 때 아닌 괴성으로 잠을 깨우고, 급할 땐 아파트 단지 한복판에서도 볼일을 보는 동생의 모자람에 조하는 한숨만 나오지만, 캐나다로 가기 위한 경비를 마련하기 전까지 꾹 참기로 결심한다.
세상과 융화되지 못하고 각자의 세상을 지닌 두 사람을 품은 것은 어머니 '인숙'의 모성이었다. 남편의 폭력에 시달리다 도망쳐 자살하기 위해 달려간 다리 위에서 낯선 한 남자에게 구해진다. 아들 조하에게는 혼자 그곳에 남기고 왔다는 죄책감을 평생 가슴에 안고 살아가는 엄마로, 남과 다르게 태어난 동생 진태에게는 책임감을 간직한 인숙은 두 아들에게 아낌없이 관심과 사랑을 내어준다.
그녀의 이런 모성은 세상과도 서로 간에도 물과 기름 같았던 두 형제를 변하게 하는 모티브가 된다. 돌덩이 같이 차가웠던 조하의 마음도, 자기만의 세계에 갇힌 진태의 마음도 서서히 녹이고 버무려 성장시킨다. 시종일관 동생을 짐으로 여기며 폭력까지 휘두른 조하, 그리고 그런 형을 두려워하며 헬멧을 뒤집어 쓴 진태는 결국 '진짜 형제'가 된다. 진태는 자신의 재능인 피아노 연주 실력으로 세상에 당당히 인정받고, 조하는 동생이 동경하던 피아니스트 한가율과 이어주는 등 동생의 조력자가 되기를 자처한다. 이 과정에서 불의의 사고 후 칩거한 한가율도 세상 밖으로 나오게 된다.
'결국은 모성이었다'라는 뻔한 신파였지만, 이병헌, 박정민, 조여정 등 쟁쟁한 배우들의 연기에 푹 빠져서 볼 수 있는 영화였다.
'폭력 남편'에게서 도망친 인숙의 모성은 비난받아야 할까. 평생에 걸쳐 죄책감을 안은 채 살아가야 하는 그녀를 당연시하는 게 맞는 것일까. 모성도 지치고 상처받고, 다치면 아프다.
가족에게 아낌없이 베풀고, 사랑하고, 감싸주는 '건강한 모성'은 엄마만 나홀로 노력한다고 되는 것이 아니다. 가정 구성원들 모두와 사회의 관심과 배려와 노력이 있어야 가능할 것이다.
현옥란 편집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