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
무려 10년만의 해후였다. 지난 주말 대학교 1학년 때 친했던 친구를 만났다. 2학기가 끝날 즈음 갑작스런 해외 유학이 결정 나 아쉽게 헤어졌는데, 강산이 변할 정도의 시간이 흐른 후 다시 만나니 감회가 새로웠다. 호주에서 사는 그 친구와는 그간의 세월도 느끼지 못할 만큼 어색함 없이 대화를 이어나갔다. 서로 예전이랑 달라진 게 없다며 깔깔대며 웃기도 했지만 기자도 놀랄 만큼 폭 넓은 주제가 오가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도 여운이 남을 정도였다. 여러 가지 분야에 대해 다양한 얘기를 나눴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뇌리에 남았던 것은 한국과 서양의 문화 차이는 확실히 존재한다는 점이다.
설날에 겪었던 일을 들려준 친구는 황당함을 감추지 못했다. 오랜만에 친척들이 모두 모인 자리에서 선을 넘는 질문들을 수없이 받았다고 했다. 얼굴, 옷차림부터 결혼까지 친구가 생각지도 못했던 것을 친하다 느끼지 않는 사람들에게 지적 받으니 기분이 상할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기자도 늘 생각했지만, 한국은 다른 나라와 비교했을 때 남에 대한 관심이 유달리 많다. 물론, 어느 나라든 개인차는 있을 수 있지만 서양에선 기본적으로 통상 프라이버시라고 생각되는 질문을 하는 것은 실례기 때문에 묻지 않는다. 친구가 처음 호주로 갔을 때 만난 사람들은 첫 만남에 애인이나 직업 등 부수적인 요소가 아니라 무엇에 관심이 있고 좋아하는지에 대한 궁금증을 드러냈다고 한다. 유교 문화가 깊이 자리한 한국에서도 적정선을 지켜 물어보는 사람도 있지만 보통 통성명을 하며 나이를 묻는 경우가 많고, 그러다 보면 내가 잘 모르는 사람에게 사생활을 알려줘야 할 때가 있다. 그렇지만 불쾌해하거나 곤혹스러운 기색을 보여도 끝까지 대답을 들으려고 하고, 알려주지 않으면 되레 본인이 기분 나빠 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공자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는 책에선 유교 문화를 맹렬히 비판한다. 엘리트주의, 사농공상적 신분질서 관념, 논리보다 힘을 우선하는 토론 부재의 사회 분위기는 가부장적 의식과 군사독재 권위주의가 혼합된 현재의 한국을 가감 없이 드러낸다. 그로 인해 혈연, 학연, 지연에 대한 맹목적 충성과 폐쇄성, 분파주의의 결과를 낳았으며 한강의 기적은 이뤄냈으나 의식의 성장은 이뤄내지 못했다.
요즘 한국은 무한 경쟁주의에 찌들어 타인에 대한 존중을 아예 잃어버린 듯하다. 조금이라도 뒤쳐지면 안 된다는 조바심과 초조함에 이타심을 지킬 여유조차 없는 것처럼 말이다.
한국 사람으로 살아간다는 것은 힘들지만, 시대가 변한 만큼 우리도 변해야 할 때다. 내가 사적인 질문에 민감하고 밝히고 싶지 않은 것처럼 타인도 같다는 것을 인지하자.
최고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