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목포 아짐 인심 겁나게 좋아부러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목포 아짐 인심 겁나게 좋아부러

  • 승인 2019-02-20 17:01
  • 신문게재 2019-02-21 22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KakaoTalk_20190220_101921438
졸린 눈을 비비며 목포 터미널 대합실에 들어섰다. 대합실 의자에 배낭을 내려놓고 물 한모금으로 목을 축이는데 노랫소리가 들렸다. 나이 지긋한 남자의 구성진 목소리에 귀를 쫑긋 세웠다. 무슨 노래더라? 멜로디는 익숙한데 선뜻 감이 안 잡혔다. '머나먼 저 하늘만 바라보고 울고 있나~.' 아, 하춘화의 '물새 한 마리'였다. 노래솜씨가 보통은 아닌 것 같은 사내의 노래가 이방인의 마음을 적셨다. 아마 취객이 흥에 겨워 부르는 모양이었다. 역시 가인 이난영의 도시 목포였다. 나에게 목포는 치자향의 도시로도 기억된다. 오래 전, 땡볕이 내리꽂는 한여름 목포역 근처에서 맡았던 달콤한 향을 잊을 수 없다. 찌는 듯한 열기속에서 눈부시게 흰 치자꽃과 그 향에 취해 가던 길을 멈추고 한참동안 서성였었다.

유달산에서 내려다 본 바다의 물빛이 싱그러웠다. 바다에서 불어오는 바람이 아직 차가웠다. 목포는 일제 강점기 일본인들의 식량 창고였다. 기름진 호남평야에서 거둬들인 쌀을 목포항을 통해 일본으로 실어 날랐다. 대전~목포의 호남선도 쌀 수탈을 위해 설립된 철로였다. 목포역을 중심으로 원도심엔 일제의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 있다. 동양척식주식회사, 경찰서, 은행, 사찰, 면화주식회사 등. 근대역사관에 전시된 사진은 잔악한 일제 침략사와 독립운동사의 숨결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총살당한 독립군의 뱃속에서 흘러나온 내장을 보는 순간 분노감에 몸이 떨렸다. 영화 '1987'의 영화촬영지 '연희네 슈퍼'뒤에는 방공호도 있다. 곳곳에 식민지의 상흔이 배어 있었다. 이곳 서산동은 80년대까지만 해도 부촌이었다고 한다. 가수 남진도 이곳 출신이란다. 그러나 지금은 여행자들의 웃음소리만 간간이 들릴 뿐 산비탈에 게딱지처럼 붙어 있는 집들은 허물어져 가고 있다. 빈집의 버려진 세간살이들이 어지럽게 널려 바람에 뒹굴었다. 그 틈에 시멘트 담벼락에선 새싹이 돋아났다. 생명이 움트고 있었다. 비루한 삶도 존재이유가 있는 것이다.

다음날 아침 일찍 선창으로 갔다. 머스터드 소스가 듬뿍 뿌려진 바게트에 우유 하나로 아침을 때운 터라 뱃속이 느글거렸다. 잿빛 구름이 깔린 하늘이 한층 낮아 보였다. 고깃배들이 꽉 들어찬 항구는 장관이었다. 몇몇 배는 울긋불긋 깃발이 나부꼈다. 올 한해 만선을 비는 의식을 치른 모양이었다. 전날 술을 거하게 펐는지 눈에 핏발 선 남자 둘이 쭈그리고 앉아 얘기 중이었다. 요즘 무슨 고기를 잡냐고 물으니 "지금은 술 먹는 철이랑게요"라며 껄껄 웃었다. 선원들 중엔 동남아인들도 많았다. 르포 작가 한승태가 진도 꽃게잡이 어선에서 40일동안 일한 기록은 바다가 결코 선심을 베푸는 곳이 아님을 보여준다. 바다가 좋아서 배를 탄다는 지은이의 고백에 선배 선원은 코웃음을 쳤다. "그림같은 바다? 좆까고 있네." 바다란 언제든 선원들을 익사시킬수 있는 살벌한 일터라는 얘기다.

시계를 보니 10시가 훌쩍 넘었다. 아무래도 밥부터 먹어야 할 것 같았다. 항동시장으로 들어가는 후미진 골목이 보였다. 옹색한 식당들은 오랜 세월 이곳에서 밥을 먹고 산 상인들의 고단함을 말해주었다. 뜨끈한 국물이 간절했다. 먼지 낀 출입문에 해장국이라고 쓰인 식당문을 열고 들어갔다. 70대로 보이는 세 여인이 난롯가에 앉아 잡담 중이었다. 그런데 영업을 안한다고 했다. 난감해하는 나에게 주인 아주머니는 "우리가 지금 밥을 묵을낀데 같이 드소"라며 의자를 권했다. 우거지넣은 돼지등뼈탕과 갈치·삼치 구이에다 젓갈, 겉절이 등이 나왔다. 그리고 꽁보리밥. 바닷가 음식답게 젓갈이 듬뿍 들어간 음식들이었다. 나중에는 소주 한잔씩 곁들였다. 그 중 한분이 '목포의 눈물'을 뽑아 냈다. '사아고옹의 뱃노오래 가아무울거어리이고~.' 그날따라 소주 맛이 달큰했다. <미디어부 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기고]대한민국 지방 혁신 '대전충남특별시'
  2. 금강환경청, 자연 복원 현장서 생태체험 참여자 모집
  3. "방심하면 다쳐" 봄철부터 산악사고 증가… 대전서 5년간 구조건수만 829건
  4. [썰] 군기 잡는 박정현 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
  5. 기후정책 질의에 1명만 답…대전 4·2 보궐선거 후보 2명은 '무심'
  1. 보은지역 보도연맹 희생자 유족에 국가배상 판결 나와
  2. 안전성평가연구소 '국가독성과학연구소'로 새출발… 기관 정체성·비전 재정립
  3. 지명실 여사, 충남대에 3억원 장학금 기부 약속
  4. 재밌고 친근하게 대전교육 소식 알린다… 홍보지원단 '홍당무' 발대
  5. '선배 교사의 노하우 전수' 대전초등수석교사회 인턴교사 역량강화 연수

헤드라인 뉴스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12·3 비상계엄 이후 탄핵정국에서 펼쳐지는 첫 선거인 4·2 재·보궐 선거 날이 밝았다. 충청에선 충남 아산시장과 충남(당진2)·대전(유성2) 광역의원을 뽑아 '미니 지선'으로 불리는 가운데 탄핵정국 속 지역민들의 바닥민심이 어떻게 표출될지 관심을 모은다. 이번 재·보궐에는 충남 아산시장을 포함해 기초단체장 5명, 충남·대전 등 광역의원 8명, 기초의원 9명, 교육감(부산) 1명 등 23명을 선출한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을 놓고 여야 간 진영 대결이 극심해지면서 이번 재·보궐 선거전은 탄핵 이슈가 주를 이뤘다. 재·보궐을 앞..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결정과 관련, 헌법재판관들의 의견이 ‘전원일치’이면 이유의 요지를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을 낭독한다. 헌법재판소의 실무지침서인 ‘헌법재판 실무제요’ 명시된 선고 절차다. 재판관들의 의견이 엇갈리면 주문 먼저 읽은 후에 다수와 소수 의견을 설명하는 게 관례지만, 선고 순서는 전적으로 재판부의 재량에 달려있어 바뀔 수 있다. 선고 기일을 4일로 지정하면서 평결 내용의 보안을 위해 선고 전날인 3일 오후 또는 선고 당일 최종 평결, 즉 주문을 확정할 가능성이 크다. 평결은 주심인 정형식 재판관이 의견을..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제4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을 추진하는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이하 소호은행)이 1일 기자회견을 열고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했다. 전국 최초의 소상공인 전문은행 역할을 지향하는 소호은행은 향후 대전에 본사를 둔 채 충청권 지방은행의 역할을 일부 수행하며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소호은행은 이날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소상공인 맞춤형 금융서비스 계획을 발표했다. 컨소시엄을 이끄는 김동호 한국신용데이터(KCD) 대표는 "대한민국 사업장의 절반 이상이 소상공인, 대한민국 경제 활동 인구의 4분의 1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 3색의 봄 3색의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