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달산에서 내려다 본 바다의 물빛이 싱그러웠다. 바다에서 불어오는 바람이 아직 차가웠다. 목포는 일제 강점기 일본인들의 식량 창고였다. 기름진 호남평야에서 거둬들인 쌀을 목포항을 통해 일본으로 실어 날랐다. 대전~목포의 호남선도 쌀 수탈을 위해 설립된 철로였다. 목포역을 중심으로 원도심엔 일제의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 있다. 동양척식주식회사, 경찰서, 은행, 사찰, 면화주식회사 등. 근대역사관에 전시된 사진은 잔악한 일제 침략사와 독립운동사의 숨결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총살당한 독립군의 뱃속에서 흘러나온 내장을 보는 순간 분노감에 몸이 떨렸다. 영화 '1987'의 영화촬영지 '연희네 슈퍼'뒤에는 방공호도 있다. 곳곳에 식민지의 상흔이 배어 있었다. 이곳 서산동은 80년대까지만 해도 부촌이었다고 한다. 가수 남진도 이곳 출신이란다. 그러나 지금은 여행자들의 웃음소리만 간간이 들릴 뿐 산비탈에 게딱지처럼 붙어 있는 집들은 허물어져 가고 있다. 빈집의 버려진 세간살이들이 어지럽게 널려 바람에 뒹굴었다. 그 틈에 시멘트 담벼락에선 새싹이 돋아났다. 생명이 움트고 있었다. 비루한 삶도 존재이유가 있는 것이다.
다음날 아침 일찍 선창으로 갔다. 머스터드 소스가 듬뿍 뿌려진 바게트에 우유 하나로 아침을 때운 터라 뱃속이 느글거렸다. 잿빛 구름이 깔린 하늘이 한층 낮아 보였다. 고깃배들이 꽉 들어찬 항구는 장관이었다. 몇몇 배는 울긋불긋 깃발이 나부꼈다. 올 한해 만선을 비는 의식을 치른 모양이었다. 전날 술을 거하게 펐는지 눈에 핏발 선 남자 둘이 쭈그리고 앉아 얘기 중이었다. 요즘 무슨 고기를 잡냐고 물으니 "지금은 술 먹는 철이랑게요"라며 껄껄 웃었다. 선원들 중엔 동남아인들도 많았다. 르포 작가 한승태가 진도 꽃게잡이 어선에서 40일동안 일한 기록은 바다가 결코 선심을 베푸는 곳이 아님을 보여준다. 바다가 좋아서 배를 탄다는 지은이의 고백에 선배 선원은 코웃음을 쳤다. "그림같은 바다? 좆까고 있네." 바다란 언제든 선원들을 익사시킬수 있는 살벌한 일터라는 얘기다.
시계를 보니 10시가 훌쩍 넘었다. 아무래도 밥부터 먹어야 할 것 같았다. 항동시장으로 들어가는 후미진 골목이 보였다. 옹색한 식당들은 오랜 세월 이곳에서 밥을 먹고 산 상인들의 고단함을 말해주었다. 뜨끈한 국물이 간절했다. 먼지 낀 출입문에 해장국이라고 쓰인 식당문을 열고 들어갔다. 70대로 보이는 세 여인이 난롯가에 앉아 잡담 중이었다. 그런데 영업을 안한다고 했다. 난감해하는 나에게 주인 아주머니는 "우리가 지금 밥을 묵을낀데 같이 드소"라며 의자를 권했다. 우거지넣은 돼지등뼈탕과 갈치·삼치 구이에다 젓갈, 겉절이 등이 나왔다. 그리고 꽁보리밥. 바닷가 음식답게 젓갈이 듬뿍 들어간 음식들이었다. 나중에는 소주 한잔씩 곁들였다. 그 중 한분이 '목포의 눈물'을 뽑아 냈다. '사아고옹의 뱃노오래 가아무울거어리이고~.' 그날따라 소주 맛이 달큰했다. <미디어부 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