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신(韓信)! 그는 한고조(漢高祖)유방(劉邦)을 도와 한(漢)나라를 세운 당시 최고의 무장이다. 사기(史記) 회음군열전(淮陰君列傳)에 명장 한신 장군의 젊은 시절의 고사가 기록 되어있다.
그의 젊은 시절의 고사를 살펴보자
한신은 가난한 가정에서 태어났지만 어려서부터 장차 나라의 최고 명장이 되어야겠다는 큰 뜻을 품었다. 그는 "손자병법"을 좋아해 밤낮으로 탐독하였다. 또 천하의 최고 명장을 꿈꾸며 다른 무사나 협객들처럼 늘 보검을 차고 다녔다.
과하지욕의 고사를 묘사한 歌川國芳(1798~1861)의 그림/출처=위키피디아(wikipedea) |
"보아하니 덩치도 크고 무예에도 꽤나 능한 자처럼 늘 보검을 차고 다니던데 어디 나와 한번 겨뤄보지 않겠느냐?"고 시비를 걸어왔다.
"어찌 감히 너와 겨루겠느냐. 오늘은 내가 급한 볼 일이 있으니 그만 길을 비켜라"하며 시비에 응하지 않자, "검술은 몰라도 사람을 죽이는 법은 알고 있을 테지? 겁쟁이가 아니라면 그 검으로 내 목을 쳐보거라." 한신이 한 발자국 물러서자 불량배는 더욱 신이나 말했다.
"키는 8척인 놈이 배짱이라곤 눈곱만큼도 없네. 이깟 일에 벌벌 떨다니. 이마저도 못하겠다면 내 가랑이 밑으로 기어나가 보려무나."
불량배는 저잣거리 가운데 두 다리를 쩍 벌리고 섰다. 두 사람이 오가는 고성에 구경꾼들이 우르르 몰려들었다. 심한 모욕에 더는 참을 수 없어 한신은 손으로 보검을 꽉 잡고 한참 동안 그를 노려보았다.
"만약 저 자를 죽이면 나는 살인죄로 신세를 망칠 것이 분명해. 어쩌면 죽을죄를 면치 못할지도 모르는 이 상황에서 명예나 체면을 지켜서 무엇 하리."
한신은 불량배를 한참을 훑어보더니 납작 엎드려 그의 다리사이로 엉금엉금 기어 지났다. 모여 섰던 구경꾼들은 배를 끌어안고 웃었다. 그 후 사람들은 한신을 "가랑이 사이로 지나간 놈"이라고 불렀다.
한신이 불량배의 가랑이 밑을 기어갔다는 말에서 '과하지욕'이 유래했다. '과하지욕(跨下之辱)'이라고도 쓰며, 원문에는 '과하지욕(袴下之辱)'이라고 되어있다. '跨'은 '타넘을 과, 걸터앉을 고'이고, '袴'는 '바지 고', '사타구니 과'이다.(東亞 漢韓中辭典)
한신은 초왕(楚王)이 된 후, 옛날 자기를 모욕했던 불량배를 데려다가 중위(中尉)에 임명했다.
요즈음 자기분노를 조절하지 못해 소중한 생명을 죽음으로 연결하는 사례가 그 어느 때 보다 많은 것 같다. 잠시의 굴욕이나 분노를 참지 못하고 극단적인 행동을 하려는 자들은 한신의 젊은 시절 과하지욕의 결단과 각오를 다시 한 번 되새겨 봄직도 하다.
한결 같이 부지런하면 천하의 어려운 일이 없고, 백번 참으면 집안에 큰 화평이 온다.(一勤天下無難事 百忍堂中有泰和(일근천하무난사 백인당중유태화)
'죽을 용기로 살자고 하면 무엇인들 못하겠는가?'
장상현/ 인문학 박사, 수필가
장상현 박사의 강의 모습.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