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
문체부는 우선 시범사업으로 2018년 기준 전국 10개 도서관을 특화도서관으로 지정해 지원 중이다.
대표적으로 서울도서관은 서울시정과 세계자료, 부산시립도서관은 그림책, 파주가람도서관은 음악, 아산탕정온샘도서관은 웹툰을 특화해 콘텐츠를 중심으로 도서관의 질을 높이고 있다.
하지만 대전의 공공도서관은 다문화, 어린이도서관, 장난감 교구대여 등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 외에는 대표성이 있는 특화 분야는 전무 했다.
현행 법령상 공공도서관에는 특화 도서관을 조성할 수 있는 조항이 있다. 문체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있고 2019년까지 3년간 시범 기간이다.
문체부는 단발성이 아닌 연속성 있는 지원을 위해 신규가 아닌 기존 특화 도서관에만 지원을 해왔다.
물론 큰 예산 범위는 아니다. 특화도서관 지원은 총 예산이 2억 원 내외고, 도서관 1개관 당 지원되는 예산은 많아야 2000만원 내외다.
문체부 관계자는 “도서관은 지자체 사무다 보니 예산 지원이 높지 않다. 그러나 적은 금액이지만 연속 지원을 통해서 특화도서관을 운영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시드머니 지원을 꾸준히 이어가고자 한다”고 밝혔다.
이어 “내년 예산이 어떻게 편성될지 확답할 수 없으나, 2월 말께 신규 도서관에 소폭 지원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문체부는 한국도서관협회를 통해 2월 말 전국 도서관에 특화도서관 지원에 대한 공문을 내려보낼 예정이다.
문제는 대전의 공공도서관의 현실이다. 2017년부터 시범사업으로 운영되다 보니 지역에서는 특화사업에 대한 고민이나 공모 지원 자체를 고려하지 않고 있었다.
또 지자체에서 우선적으로 예산을 지원하고 정부의 예산이 투입되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공공도서관과 함께 지자체가 특화 사업을 만들어가야 하는 난제가 남아있다.
지역 도서관 관계자는 “어린이 도서관을 준비 중이다. 특화라 할 수 없지만, 현재로써는 다른 시도의 특화 도서관처럼 큰 그림을 준비하지 못하는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