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연의 제1저자, 윤여준 이화여대 교수, 차선신 이화여대 교수. |
윤여준 교수(이화여대)의 주도로 차선신 교수(이화여대), 항웬 류 교수(택사스대), 박제원 교수(고려대) 연구팀이 젠타마이신 B의 생합성 과정을 규명하고 젠타마이신 중간체들이 유전병 치료제로 개발될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노정혜)은 밝혔다.
젠타마이신 B는 결핵균, 포도상구균 등에 사용되는 가장 오래된 항생제다. 내성이 강한 슈퍼박테리아에 사용되는 2세대 항생제인 이세파마이신의 합성 원료이기도 하다. 자연에 극소량만 생산되는 까닭에 그 생합성 과정을 규명하고 생성물의 양을 늘리려는 연구가 지속됐지만 전세계 과학자들에게 풀리지 않는 숙제로 남아 있었다.
연구팀은 젠타마이신 B의 생합성에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모든 중간체들을 화학 합성하고, 만들어낸 물질을 관련 효소와 반응시켜 확인하는 방법으로 젠타마이신 B의 생합성 경로를 최초로 규명했다. 이를 통해 미생물 내에서 젠타마이신 B가 극소량 생산되는 원인이 밝혀졌다. 반응에 필수적인 효소의 낮은 기질 유성성이 크게 작용했다.
또 생합성 과정에서 유전병 치료에 응용 가능성이 높은 새로운 중간체들도 발굴됐다. 연구팀은 유전자 결함에 따라 단백질의 결손으로 야기되는 질환인 낭성 섬유증, 듀시엔형 근이영양증, 헐러 증후군 등의 치료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 연구 성과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중견연구)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생화학분야 세계 최고 권위의 국제학술지 네이처의 자매지인 '네이처 케미칼 바이올로지(Nature Chemical Biology)'에 1월 15일 게재됐다.
윤여준 교수는 "이 연구는 50년 동안 알려지지 않은 주요 항생제의 미생물 내 합성과정을 최초로 규명한 것"이라며 "특히 생합성 과정 규명을 통해 찾아낸 자연계에 극소량 존재하는 중간체들은 유전병 치료제로의 개발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윤창 기자 storm0238@
젠타마이신 B의 생합성 과정.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