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 주문 문화도 바뀌었다. 전엔 메뉴를 고르고 주문한 뒤 자리에 앉았다면 지금은 자리에서 휴대폰 하나로 다 해결한다. 앱에 있는 카드로 비용을 충전해 주문부터 계산까지 한 번에 끝낸다. 기차와 고속버스 예매도 마찬가지다. 밖에서 친구를 만나다가도, 집에서 쉬고 있다가도 얼마든지 표를 구할 수 있다. 창구에서 설레는 마음으로 승차권을 건네받았던 기억은 잊은 지 오래다.
내게는 너무나도 편리하고 익숙한 것이어서 누군가에게는 난관이 될 거라고는 생각하지 못했다. 부모님께서 내게 기차표 예매를 부탁하시기 전까지는. "그거 그냥 앱으로 하시면 돼요."라고 말씀드렸지만 '그냥 하면' 되는 게 아닐 수도 있다는 걸 처음엔 몰랐다. 스마트폰이 친숙하지 않은 세대에게는 앱을 설치하고 회원가입을 하기부터 쉽지만은 않은 일이다.
패스트푸드점 무인계산기도 마찬가지다. 노인들이 화면을 몇 번 눌러보다 이윽고 계산대로 가서 주문하는 모습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노인뿐 아니라 전자기기 활용이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도 발걸음을 돌리기 쉽다. '디지털 소외'를 겪는 것이다. 생각해보니 디지털 소외는 최근의 일이 아니었다. 은행권에서 창구 상담보다는 ATM 이용을 권유하는 모습을 제법 오래전부터 봐왔다. 비교적 간단한 현금 입출금도 누군가에게는 사람을 통해서 하는 것이 수월하다는 걸 미처 생각하지 못했다.
자주 가던 영화관도 창구를 하나 둘 줄이더니 언제부턴 한 곳만 열어놓았다. 마음 한편 안타까움이 든다. 영화관은 인터넷 또는 모바일 예매가 익숙한, 무인 예매가 편리한 세대의 전유물이 아니다. 그럼에도 누군가에겐 영화 한 편 보기도 벅찬 공간이 돼가고 있다.
기술의 발전은 환영할 일이다. 하지만 모두가 누릴 수 없다면 다시 돌아봐야 한다. 키오스크들을 없앨 수는 없지만 좀 더 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바꿀 수는 있다. 글자 크기는 더 키우고 불필요한 영어는 우리말로 바꾸자. 기계가 낯선 사람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간결하고 명확한 안내 멘트를 넣는 것도 좋다. 문명의 이기(利器)가 이기(利己)주의로 변질하지 않길 바란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