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티 이미지 뱅크 |
나 혼자만이 불안을 느끼고 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불안이란 감정은 자연스럽게 왔다가 자연스럽게 사라집니다. 사람들에 따라서 불안이 찾아오는 빈도는 차이가 있습니다. 자신이 약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불안이 오면 심장박동이 심하게 뛰거나 불안을 잠재우기 위해서 무엇인가를 행동으로 옮기는데 불안이 가라앉힌 다음에는 대부분 후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면, 헤어진 애인의 sns를 드려다 보거나, 자신이 궁금했던 정보를 찾기 위해서 인터넷 검색을 밤새면서 하는 경우를 들 수 있습니다. 더 심하게는 그 불안을 느끼는 것이 두려워 일중독, 게임중독, 쇼핑중독 등 다양한 중독 현상으로 나타납니다.
특히, 아이들을 양육하고 있거나 사춘기 학생이 있는 가정에서는 어머니의 불안이 아이들에게 잔소리의 형태로 나타납니다. 또한 부모가 부모로부터(원가족) 받고 싶었던 것을 자녀에게 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면서 부모는 자녀에게 '엄마는 어렸을 때 이런 대접 못 받았는데, 너는 이렇게 대접 받으면서도 왜 이리 불만이냐' 식의 말을 하기도 합니다. 우리는 자신이 받고 싶은 것을 대부분 다른 사람들에게 줍니다. 즉 자신의 결핍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 또한 불안의 형태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어떤 책을 읽다가 이런 문구를 발견했습니다. '억압, 우울증과 심신의 질병을 통하여 어떤 의미로는 그녀 자신의 일부를 십자가에 못 박았다. 자신이 적대적이고 이질적인 세계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 것이라고 느끼기 위하여 그녀 자신의 마음과 신체를 자기 파괴적인 방식으로 왜곡할 수 밖에 없었다.' 이것은 자신의 불안을 직면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불안을 느끼지 않기 위해서 중독 상태로 자신을 몰아넣어버리는 경우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것들이 반복이 되면서 고착이 되어 버립니다. 정신분석학자 프로이트는 고착의 대상이 곧 '우상'이 된다고 표현하였습니다. 여기서 우상이란 하나의 절대성으로 높이려는 모든 것, 즉 무한한 수준으로 고양된 유한성, 영구적이라고 주어진 일시적인 형태를 말합니다. 자신 안의 우상이 있는지? 있으면 어떤 부분인지를 살펴보는 것도 도움이 될 듯 합니다.
우리는 불안의 강도가 높았을 때 자신의 결핍을 더 강하게 표출하기도 합니다. 그런 상황이 오면 '아. 불안이 또 찾아왔구나' 라고 편하게 인정하면서 자신과 대화를 해보면서 '무엇 때문에 불안하니' 라고 자문을 해보는 것도 많은 도움이 됩니다.
'비둘기같이 순결하고 뱀같이 지혜로워야 한다'는 교훈이 떠올랐습니다. 이것은 '자신의 불안의 근원지는 어디일까?'. '불편한 감정이 과연 나에게 어떤 의미를 주고 있는가' 에 대해서 생각해 보는 지혜로움을 갖게 하는 교훈인 듯 합니다.
불안을 잠재우는 방법이 무엇이 있을까를 쉽게 생각해보았습니다. '감사' 가 답입니다. 감사한 일들을 찾아서 기록해 보시면 불안 정도가 떨어지는 것을 체감하게 됩니다. 지금 이 순간에서 하늘의 별동별처럼 '감사' 가 우수수 떨어지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박경은 가득이심리상담센터 대표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