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 여야가 2019년 새해 벽두부터 대격돌을 예고하고 있다. 내년에는 금강벨트가 들썩이는 공직 선거가 잡혀 있는 않지만, 정치권의 '뜨거운 감자'인 선거제 개혁과 정계개편 등을 둘러싸고 2020년 차기 총선으로 가는 길목에서 기선제압을 위한 힘겨루기가 연초부터 뜨겁게 달아오를 것으로 보인다.
지역정가에 따르면 2019년에는 대선, 총선, 지방선거 등 이른바 공직선거 '빅3' 일정이 잡혀 있지 않다. 4월 3일 재보궐선거가 예정돼 있지만, 충청권에선 이목을 끌만 한 매치업 성사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 검찰은 6·13 지방선거 당시 대전·충남에서 공직선거법을 위반한 김정섭 공주시장과 김석환 홍성군수를 포함한 당선자 13명 등 모두 105명을 기소했지만, 재판절차 등을 고려할 때 재보궐선거가 치러지기에는 물리적 시간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공직선거는 없지만, 충청 여야는 어느 때보다 치열한 한해를 보낼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연초부터 굵직한 정치 쟁점을 놓고 여야가 불꽃 튀는 대결이 예상된다. 중앙 정치권을 휩쓸고 있는 선거제 개혁과 정계개편 논의가 충청권 여야 각 진영에도 생존을 고민해야 하는 문제로 인식되고 있어서다.
선거제 개혁의 경우 여야 5당이 정당득표율과 국회의석수가 정비례하는 연동형비례대표제를 도입키로 하고 내년 1월 임시국회에서 합의 처리키로 큰 틀에서 합의를 이뤘다. 하지만, 주요쟁점인 의원정수 및 지역구-비례대표 조정 등 각론에선 여전히 합의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연동형비례대표제 도입 룰이 어떻게 정해지느냐에 따라 대전 7석, 세종 1석, 충남 11석, 충북 8석 등 충청권 지역구 27석인 현재 충청권 입법 지형의 변화가 예상된다.
이 때문에 연초부터 충청 여야가 각각 자신들의 세(勢) 확산과 선거전에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기 위한 화력전이 불가피해 보이는 이유가 이 때문이다. 현재 충청권 지역구 정당별 의석수는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이 각각 15석과 12석이며 바른미래당, 민주평화당, 정의당 등은 의석이 없다.
각종 시나리오가 난무하고 있는 정계개편도 화약고다. 보수진영에선 중도 개혁세력을 표방한 바른미래당이 최근 균열이 생기면서 자유한국당으로의 통합설이 나오고 있으며 한국당의 경우 분당과 친박(친박근혜)신당 창당설도 흘러나온다. 보수진영 재편 움직임이 가속화 될 수록 이에 대응하기 위해 민주당과 민주평화당 정의당 등 이른바 범여권 역시 통합논의 등이 급물살을 탈 수 있다.
충청권 여야 역시 이같은 정계개편 움직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지난 6·13지방선거에서 바른미래당 충북지사 후보였던 신용한 전 대통령직속 청년위원장이 탈당하면서 금강벨트에서도 보수진영에서부터 벌써 이합집산이 예고되고 있다.
리얼미터가 tbs의뢰로 지난 24일부터 26일까지 전국 19세 이상 남녀 1003명 대상 여론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홈페이지 참조)에서 충청권 정당지지율은 민주 45.8%, 한국 23.2%, 바른미래 8.4%, 정의 5.2%, 민주평화 2.1% 등의 순이다. 정계개편이 어떻게 갈래를 타지느냐에 따라 금강벨트 정당지지율은 출렁일 수 밖에 없어 지역정가의 촉각이 모이고 있다.
강제일 기자 kangjeil@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