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가 부도난 후 그 영향은 곳곳에서 빠르게 확인됐다. 한국 사회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가 IMF 전과 후로 나뉘는 순간이었다. 가장 먼저 회사들이 대대적인 구조조정에 들어갔다. 제일은행의 '눈물의 비디오'를 시작으로 여기저기서 뒤숭숭한 얘기들이 나돌았다. 언론사도 예외는 아니었다. 어느날 직장 후배로부터 잘렸다는 소식을 듣고 머리가 멍했다. 난 그 전에 신문사를 그만둔 후라 얘기만 들었을 뿐이지만 급박했던 상황이 생생히 전해졌다. 기가 막힌 건 편집국 인원의 반이 하루아침에 해고됐는데 그 절차가 야만적이었다. 퇴근 후 밤에 전화로 급작스럽게 해고통보를 받았다고 한다. 다음날 당장 짐을 싸라는 얘기였다. 살풍경한 구조조정의 칼바람은 인간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도 없었다. 살아남은 사람도 고통스럽긴 마찬가지였다. 자신들의 월급을 줄여서라도 동료들을 살리고 싶었다. 그렇게 해서 일부는 복귀했지만 버림받은 상처는 지워지지 않았다. 결국 하나 둘 회사를 떠나갔다고 한다. 후배는 그 후로도 오랫동안 그 날의 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종종 악몽을 꾼다고 토로했다.
일몰 직전 노을이 질 때처럼 아름다운 장면도 없다. 자연이 만들어낼 수 있는 총천연색이 담겨 있다. 찬란하게 빛나는 구름의 호위를 받으면서 하루의 여정을 마치고 생명을 다 하는 불덩어리. 단말마적으로 몸부림치는 태양의 장엄한 죽음을 볼 때마다 기시감이 생긴다. IMF 직전이 딱 그랬다. 바야흐로 한국은 OECD 가입으로 선진국 대열에 진입하고 정치적으로도 안정돼 장밋빛 미래가 보장되는 것처럼 보였다. 대충 노력하면 취직할 수 있었고, 때 되면 결혼하고 자식 낳고 집장만 하며 살만했던 호시절이었다. 지금은 상상할 수 없지만 언론사의 위상도 대단했다. 기자들의 긍지는 하늘을 찌를 듯 했고 격월로 보너스도 받았다. 보너스 타는 달의 월급날, 여기자들은 퇴근하면 백화점으로 몰려가 브랜드 옷도 척척 샀다. 그런데 어느날 갑자기 IMF라는 괴물이 나타나 대한민국을 통째로 집어삼켰다.
"가진 사람은 더 받아 넉넉하게 되겠지만 못 가진 사람은 그 가진 것마저 빼앗길 것이다." 마태복음에 나오는 구절이다. 다시 봐도 간담이 서늘해진다. 우리의 행복지수는 OECD 최저다. 왜 그럴까. IMF 이후 불어닥친 신자유주의는 한국사회에 극심한 불평등이라는 독소를 퍼트렸다. 부유한 사람은 점점 더 부유해지고 가난한 사람은 점점 더 가난해지는 현실. 상위 1%를 위한 나라. 시장은 재벌을 위해 존재하고 생존에 필요한 최저 생계비도 없는 '송파 세모녀'들은 절벽 아래로 추락한다. 일찍이 노무현 대통령은 "권력이 시장으로 넘어갔다"고 백기를 들었다. 금수저, 흙수저, 헬조선, N포 세대. 고통분담을 숙명처럼 받아들이며 너도나도 장롱 속의 금을 내놓은 서민들에게 돌아온 건 절망과 가진 자의 냉소다. "저 영화 보니까 그 친구가 생각나네.", "지금은 좀 나아졌대요?", "아직도 어렵다는구먼." 영화를 보고 나오던 노부부가 나눈 대화다. IMF는 끝나지 않았다. <미디어부 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