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리는 거 없이 다 잘먹는 먹보지만 분명히 싫어하는 것도 있다. 이것저것 섞는 건 딱 질색이다. 그런데 요즘은 그게 트렌드인 것 같다. 한때 학문에서도 통섭이 대세였다. 이걸 모르면 대화의 자리에 끼지 못할 정도였으니 음식도 그렇게 따라가는 모양이다. 어떤 음식은 육·해·공이 다 들어가기도 한다. 삼계탕에 전복이 들어가고 소갈비찜에 문어, 꿩고기가 들어가던가, 하여간 진시황 식탁이 부럽지 않은 화려한 요리 일색이다. 제과회사에서 만드는 건 어떤가. 초콜릿에 씨앗이나 과자 부스러기를 넣고 초코·딸기우유가 더 잘 팔린다. 내 입맛이 촌스러워서인지 그냥 아무것도 안 들어간 초콜릿이 좋고 흰 우유를 찾는다. 편집부 후배 중에 초코·딸기우유 왕 팬이 있는데 이걸 많이 먹어서 예쁜 건가 하는 생각이 들 때도 있다.
초년의 입맛은 평생을 간다고 했다. 요즘들어 부쩍 어릴 적 먹던 음식이 당긴다. 이왕이면 고린내 팍팍 나는 청국장이 맛있고, 한겨울엔 엄마가 끓여주던 비지국이 그렇게 생각날 수가 없다. 음식을 계절별로 치면 봄이 제일 좋다. 산과 들 온갖 나물 천지 아닌가. 봄나물은 향이 강하고 다양해 입맛을 돋운다. 불미나리, 씀바귀, 냉이, 가죽나무 순, 오갈피 잎, 두릅, 쑥, 머위…. 내 요리 솜씨는 형편없지만 한가지 깨달은 건 있다. 나물은 양념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것. 그래야 재료 본래의 맛을 해치지 않는다. 내가 쓰는 양념은 된장, 고추장과 깨소금 정도? 그것도 아주 조금 넣는다.
직장에 다니니까 아무래도 식당밥을 많이 먹는다. 기름지고 자극적이고 맵고 짜고 단 맛을 피하기 어렵다. 음식은 그래야 잘 팔린다. 다들 집밥같은 식당밥을 원한다지만 막상 음식이 슴슴하면 뭐가 안 들어갔네, 맛이 없네 툴툴거린다. 회사에서의 일은 취미가 아니다. 엄연히 노동이다. 먹고 사는 문제가 달렸다. 당연히 힘들고 스트레스를 받을 수밖에 없다. 많은 사람들이 그래서 먹는 걸로 지친 하루를 달랜다. 요즘 먹방이 왜 유행이겠는가. 모든 채널이 음식에 목숨 건다. 기름이 뚝뚝 떨어지는 고열량의 음식을 산더미만큼 쌓아놓고 누가 더 많이, 빨리 먹나로 내기를 걸듯이 말이다. 설탕으로 범벅된 디저트도 절대 빼놓을 수 없다. 안방에서 그걸 보는 시청자는 대리만족을 느끼며 행복감에 젖는다.
지난 주말 칼칼한 김치찌개가 먹고 싶어졌다. 전날 저녁에 구워 먹은 소고기의 기름이 이마에 띠를 두른 것처럼 개운하지 않아서였다. 신김치에 왕 멸치와 두부만 넣었다. 그것 뿐이다. 돼지고기와 다른 부재료는 일절 넣지 않았다. 따로 양념도 하지 않았다. 기본에 충실했다고 해야 할까. 그렇게 밥 한 공기와 김치찌개만으로 점심을 먹었다. 현미가 들어간 밥을 김치찌개와 함께 입에 넣고 천천히 꼭꼭 씹어서 먹었다. 몸에 달라붙은 찌꺼기가 떨어져 나가는 것처럼 상쾌했다. 단순함은 늘 옳다. 내가 추구하는 삶의 방식이다. 때때로 그게 뜻대로 안돼서 머리가 터질 것처럼 골이 띵띵하지만 어쩔 수 없는 노릇이다. 그럴 땐 이 담백한 김치찌개로 속풀이 하면 되지 뭐. <미디어부 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