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는 그의 삶과 노래를 보여줍니다. 록 그룹 가수인 그의 노래는 거칠기보다 서정적입니다. 또 외치는 큰 소리보다 가늘고 여리게 부를 때가 더 매력적입니다. 엄격한 아버지와 가족이 신봉한 조로아스터교의 교리, 전형적인 영국 백인이 아니기에 겪을 수밖에 없는 차별과 소외, 거대 음반사의 간섭. 한 여인을 지극히 사랑했지만 자기 안에 존재하는 또 다른 성적 지향 등 삶은 그를 외롭고 슬프게 했습니다. 그러나 그는 굴하지 않고 자신의 음악을 향해 나아갔습니다. 자신의 삶과 자신의 음악은 자신이 결정한다고 외쳤습니다. 깊은 고통과 어둠 속에서 길어 올린 빛을 음악으로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무대 위에서 그는 별이 되었습니다.
그는 떠돌이였습니다. 태생과 성장과정, 이후 삶과 음악이 그렇습니다. 어쩌면 그래서 그의 음악은 동시대 전 세계인의 사랑을 받았는지 모릅니다. 아니 세대를 뛰어넘는 전설이 될 수 있었을 겁니다. 천재의 요절은 어제 오늘 일이 아닙니다. 그는 너무 일찍 도착했거나, 아니면 끝끝내 지상에 뿌리내릴 수 없는 나그네는 아니었을지요.
1970년대. 유럽 전역을 휩쓴 68혁명의 분위기 속에 퀸과 프레디 머큐리는 노래했습니다. 기성 문화와 가치관에 도전하고 저항했습니다. 온갖 금기, 규제와 싸우며 자신만의 정체성을 굳세게 지켜냈습니다. 그것이 그와 동료들의 노래가 한 세대 지난 지금 다시 20대의 젊은이들에게 사랑받는 이유입니다. 방랑자 집시들을 지칭하는 보헤미안의 노래는 신유목 시대, 노마드로 불리는 오늘날의 상황에 잘 걸맞습니다.
중학생 때 라디오를 틀면 팝송 프로그램이 많았습니다. 김광한, 김기덕, 황인용 등 전문 진행자들이 들려주던 노래들이 생각납니다. 가사도 뜻도 잘 모르면서 그저 멜로디만 흥얼대던 시절이었습니다. 영화로 노래와 삶을 함께 만나니 슬프면서 또한 여전히 아름답습니다.
-김대중(영화평론가/영화학박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