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때부터 엄마의 아픔이 아이에게는 '서서히 엄마가 내 곁을 떠나가는 거, 서서히 엄마가 나를 버리는 거, 서서히 엄마가 나를 떠나 보내는 것'으로 여기게 됩니다. 엄마의 상실이 곧 친구의 상실처럼 다가올 수 있습니다.
정신분석에서 말하는 '동일시' 와 같은 것입니다. 동일시는 부모 등 중요한 사람들의 태도와 행동을 자기 것으로 만들면서 닮아가는 것을 말하는 것인데, 친구 또한 중요한 사람으로 자리 잡고 있기에 부모와 친구를 동일시로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부모의 좋은 점도 닮아 갈 수 있지만, 닮지 않아야 될 바람직하지 못한 특성들 즉, 깡패와 범죄자 등 과 같은 부모의 특성을 방어하기 위해 오히려 잔인함으로 표출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인간의 마음 속에서는 정신분석가 프로이트식으로 말을 하면, 아픔으로 고통스러워 하는 엄마나 자신을 힘들게 하는 엄마에게 '엄마가 죽었으면 좋겠다' 라고 말하는 자신을 무의식에서 발견하면서 죄책감은 시작됩니다. 죽음 앞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일까요? 친구와의 관계, 가족하고의 관계, 타인관의 관계가 틀어진 이유가 무엇이었을까요? 친구와의 관계가 힘든 이유가 엄마와의 상실과 어떤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일까요? 한 가지의 생각에서 오만가지의 생각들이 품어 나옵니다.
역설적으로 표현하면, 강한 죄책감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관계가 틀어짐으로써 오히려 관계에 있어서 한편으로 편할 수 있습니다. '내가 엄마한테 잘못한 것에 대해 벌을 받고 있는 거야' 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엄마의 대한 배신으로 '나 같은 사람은 벌 받아도 당연해 '라는 비합리적인 신념이 있을 가능성도 엿 볼 수 있게 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틀어진 관계 속에서 '그게 편하다' 라고 그 생활 속에서 안주하면서 도피하는 삶을 사는 경우도 있습니다.
떠나보내는 것은 그 무엇이든 아픈 것입니다. 생명의 잃음, 물건의 잃음, 고향을 떠나는 일, 국적을 떠나는 일, 사랑하는 사람과의 이별, 절친과의 이별, 애완동물의 죽음 등 떠나보내는 일은 다양하지만, 그 어느 하나 아프지 않는 것은 없습니다. 여기서 떠나보낸다는 것은, 떠나보냄을 경험하는 사람은 자신의 삶의 존재방식과 관계방식을 바꾸게 합니다. 자신의 삶의 패턴이 지진처럼 또 하나의 지층을 만들어내는 과정이라고 봅니다.
어릴 때부터 엄마가 아프셨기 때문에 부정적인 감정을 표출할 때가 없었을 겁니다. 모든 감정을 혼자서 간직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었을 겁니다. 자신을 돌봐 줄, 자신과 소통할 수 있는 사람이 없었기 때문에 가장 두렵고 무서웠던 일은 엄마의 죽음이었습니다. 결국 그 두려움이 혼자 남는 것으로 자리하게 된 것입니다. 이러한 경험은 친구와의 관계가 똑같다고 이해하시면 더 좋을 듯 합니다. 친구와의 관계에서도 두려움 때문에 먼저 폭언을 함으로써 자신을 보호하고 원만한 관계를 하지 않음으로써 안정을 찾아가는지도 모릅니다. 지금 학생에게 가장 필요 하는 것은 '나는 너를 떠나지 않을 것이다.'라는 확신을 심어줄 대상 즉 담아주는 대상입니다.
박경은 가득이심리상담센터 대표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