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에는 닿소리 17자와 홀소리 11자로 총 28자를 만들었는데 닿소리 ㅿ(반시옷), ㆁ(옛이응), ㆆ(여린히읗)과 홀소리 ·(아래아)의 4글자를 1933년 조선어학회에서 '한글맞춤법 통일안'을 제정하면서 제외시켜 현재 24자만 쓰이고 있습니다.
창제 동기는 〈훈민정음〉 서문에 나타난 자주, 애민 실용정신입니다. 첫째, 우리말이 중국말과 다른 데도 중국글자를 쓰므로 불편한 점이 많아 우리말에 맞는 새 글자를 만들게 되었다는 것인데, 여기에는 세종대왕의 강한 민족자주정신의 나타나 있습니다. 둘째, 어리석은 백성이 쉽게 글자를 배워 문자생활을 편하게 하기 위해 만든다고 했으니 어기에는 민본주의가 나타나 있습니다.
그리고 창제 원리는 자음을 어금닛소리·혓소리·입술소리·잇소리·목소리의 5가지로 나누고 발음기관의 모양을 본 떠 만들었으며, 그 세기(강,약)에 따라 획을 더해 만드셨습니다.
모음은 천지인(天地人)의 세 가지(·, ㅡ, ㅣ)를 기본으로 이를 조합하여 모음 'ㅗ, ㅏ, ㅜ, ㅓ, ㅛ, ㅑ, ㅠ, ㅕ'를 만들었습니다.
한글은 정음, 언문, 반절 등으로 불렸으나 19세기 말에 국문이라 불리게 되었고 1910년대부터 한글이라 부르게 되었습니다.
어느 한 시기에 창제되어 일시에 반포·사용되고, 이후 약 600년 가까이 지속적으로 사용되는 문자는 세계에서 오직 한글밖에 없다고 하겠습니다.
스마트 폰에서도 자유자재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은 한글이 소리글자이면서 낱글자이기 때문입니다. 한글의 기계화는 타자기의 자판에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그러다가 점점 발달되어 컴퓨터는 물론 스마트폰에서도 사용하게 된 것입니다.
자랑스럽습니다.
우리가 만든 우리 글자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자랑스럽고, 그 글자가 소리글자라는 게 자랑스럽고, 글자 수가 가장 적은데도 표현하지 못하는 말이 없다는 것이 자랑스러우며, '언제, 누가, 어떤 방법'으로 만들었다고 확실히 알 수 있는 것이 자랑스럽습니다.
아시죠? 문화민족. 우리가 만든 우리 글자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 자랑스러운 문화민족인 것입니다.
김용복 한말글 사랑 한밭모임 회원
한글날에
유준호/ 시조시인
어둠 속에 아침열고
눈짓하는 한글이여!
한 우주를 껴안은 가장 고운 꽃송이
그대는 오늘도 그윽한 향을
뭇 가슴 가슴에 풍겨
모레 글피 그글피까지
깨우침 줄 한글이여!
한때는 시샘어린 비바람에 부대꼈지만
그대는 배달 핏줄을 밝히는
오래 느꺼울 혼불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