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티 이미지 뱅크 |
정신분석학자 월프레드 비온이 말하는 O의 세계에서는 "궁극적 실재에 관한 절대적 진실"로서 그것은 "영원히 인간의 앎에 의해 도달할 수 없고, 말로 설명할 수 없는 영역으로 남아있어야만 한다. 건강한 사람은 먼저 "사물-없음"이라는 필요한 대상의 부재를 응시하고 유지할 수 있기 위해, 좌절을 견디는 역량을 가져야만 한다. 이 부재는 출현하는 아이디어를 담는 것이 된다. 좌절을 견디지 못한 실패는 "사물-없음"을 구체적인 내적 대상으로 변형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라고 말했습니다. 견디어 내는 삶, 그리고 건강하게 애도하는 삶 둘 다 함께 이루어져야 건강한 자아로 살아 갈 수 있게 됩니다.
담아주기는 비온의 개념으로 담아주기의 과정이 일어나는 최초의 관계는 유아와 엄마와의 관계에서 시작된다고 하였습니다. 담아주기는 엄마가 신체적으로 안아주는 과정보다 유아의 부정적인 사고와 부정적인 감정들의 정도를 경감시켜주는 엄마의 능력을 중시하는 개념입니다.
아이들이 삶에 대한 걱정과 근심으로부터 엄청난 불안과 싸우게 되는 고통스러운 감정 이면에는 존재감의 손상이 있으며 이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담아주기가 제공되어야 합니다. 담아주기와 담기기는 정서를 소화하는 과정이며 무의식적이면서 동시에 실제적인 의사소통인 투사적 전이 동일시 방식으로 일어납니다. 자신의 존재감에 관심을 둠으로써 진정한 자기 자신으로 산다는 것의 중요성을 일깨워주도록 격려와 지지가 필요할 것입니다.
우리에게는 애도함으로 만들어진 자아와 애도하지 않음으로써 만든 자아가 있습니다. 전자의 자아는 과거의 자신보다 훨씬 더 주체적이며 더 단단하고 멋지게 삶을 살아갈 수 있습니다. 그것이 바로 주체적인 자아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후자의 자아는 겉으로 보기에는 전자와 별 차이가 없어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내면에서는 죄책감, 수치심, 원망, 두려움, 불안 등 부정적인 정서가 뿌연 안개처럼 깔려 있습니다. 결국 하늘과 땅 사이의 차이를 가지고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어린 시절에 부모를 떠나보냈을 때 어떤 아이는 의젓해 보이려고 울지 않습니다. 그러한 행동은 홀로 남은 두려움이 바로 그들의 공포가 되기 때문에 마주하지 않으려고 애쓴 흔적들입니다. 상실에 대한 아픔이 쓰나미처럼 한 순간처럼 왔다가 덮어지면 덮어지는 줄 알았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것이 얼마나 자신의 마음을 그늘지게 하는지를 모르기 때문입니다. 언어로 표현해야 합니다. 감정을 표출해야 합니다. 어린아이처럼 행동하지 못하고 어른처럼 행동하며 살았던 자신을 토닥이며 지금이라도 통곡하며 떠나보내는 작업을 해야 합니다. 우리는 상실이 일어난 시점에서 자신의 모든 것이 멈춰버렸다는 사실을 부인하지는 못합니다. 또한 알지도 못하진도 모릅니다.
우리에게 떠나보내는 애도하는 작업은 필수입니다. 애도 작업의 방법으로 (1) 엄마의 죽음을 받아들이기, (2) 그 누구도 엄마를 대신할 수 없다. (3) 엄마 없이도 잘 살수 있다는 힘이 주체적으로 생길 수 있는 자신 안의 장점을 찾으면 됩니다. 이 순서를 차분하게 밟으면서 자신의 빈 마음을 채워가야 합니다. 이것이 가능하면 담기는 사람을 찾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가 담기는 사람이 됩니다.
박경은 가득이심리상담센터 대표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