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자기 카운터로 한 남자가 뛰어 들어왔다. 어디서부터 뛰어왔는지 말하는 목소리에 숨소리가 거칠게 섞였다.
"아이스 아메리카노 두 잔이요! 지금 바로 주세요."
"지금 주문이 밀려있어서요, 앞에 주문하신 분들 먼저 드리고 나서 드리겠습니다."
"제 거 먼저 주시면 안 될까요? 지금 기차 시간이 급해서요."
뒤에서 듣고 있기에 어이없는 이야기였다. 기차를 탈 시간이 임박했으면 음료를 사지 않으면 되는 일이 아닌가. 급한 순서대로 주문을 접수한다면 여기서 기다릴 사람이 누가 있단 말인가. '나는 커피를 기다리지 않아도 되는 사람'이라고 말하는 느낌을 받았다. 직원을 압박하는 모습을 보며 손님이라는 지위를 이용한 갑질이라는 생각도 들었다.
직원은 다시 한 번 정중하게 거절했다. 다른 분들도 기다리고 계셔서요. 안됩니다.
그러나 남자는 굴하지 않았다. 제발 한 번 만요. 결국 직원은 알겠다고 말했다.
남자는 1분여 만에 아이스 아메리카노를 받아들고 승차 플랫폼을 향해 헐레벌떡 뛰었다. 그 뒷모습과 조금 전에 들었던 '제발 한 번'이라는 말을 곱씹어보다 깨달았다. 저 아이스 아메리카노는 남자가 마실 음료가 아니었던 게 아닐까.
누군가 그에게 기차 탑승시간을 고려하지 않은 채 커피를 사오라고 지시했고, 그는 안 된다는 말을 할 수 없는 입장이었을 것이다. 허둥지둥 커피를 사러 들어와서 말도 안 되는 주문을 해야 윗사람을 거스르지 않을 수 있었다. '남보다 내 거 먼저 달라'는 그 남자의 갑질은 '제발 한 번 만 좀 도와 주세요'라는 을의 호소였다.
대부분의 우리는 생계를 위해 일을 하는 노동자다. 그리고 노동을 마치고 나면 소비라는 권력을 누리는 고객이 되기도 한다. 노동자로서 갑에게 모멸감을 느끼고 난 뒤, 소비자가 되어 분풀이로 갑질을 하는 을도 있다. 베이커리에서 본 그 남자처럼 갑이 시켜서 어쩔 수 없이 불합리한 요구를 하기도 한다.
갑질은 그렇게 또 다른 갑질을 만든다. 손가락으로 꾹 누르면 다른 방향이 튀어나오는 풍선처럼. 누가 그 남자를 갑질에 동조하느라 뛰게 했을까. 먹고 사느라 뛰어다니기도 바쁜데, 나쁜 짓까지 하게 된 그가 조금은 가여웠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